CDMO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미국 생물보안법 테마주, CDMO 뜻

CDMO 관련주 정리 포스팅입니다. 이 글에서는 CDMO 뜻을 자주 함께 사용되는 용어(CRO, CMO)와 비교해 알아보는 한편 현재 주식 시장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CDMO 대장주 정보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 이 글에서는 각 종목들이 왜 해당 섹터의 실시간 테마주인지를 설명하고 이슈와 관련해 주가가 어떻게 변동 중인지를 함께 살펴봅니다.

+ 주가는 항상 변동하니 참고만 해 주시길 바라며 대장주 역시 상황에 따라 수시로 변동하니 이 점 역시 유념해 주시길 바랍니다.

CDMO 뜻 (vs CRO, CMO)

CDMO 뜻

우선 요즘 정말 자주 들리는 CDMO 뜻 정리부터 하고 시작하겠습니다.

CDMO(Contr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Organization)는 ‘위탁개발 및 생산기업’을 의미하는데요.

제약회사의 경우 CDMO라 하면 통상 연구기관 등과 파트너십을 체결한 후 제품의 개발부터 생산까지 모든 과정을 일괄적으로 맡아서 하는 형태를 뜻합니다.

CMO, CRO 뜻

바이오 기업 관련 투자를 하다 보면 CDMO 이외에도 CMO와 CRO라는 용어 역시 자주 볼 수 있습니다.

CMO 뜻은 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으로 위탁 생산기업을 의미하며 말 그대로 약품의 생산만 한정해서 외주를 주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생산을 외주 형태로 처리할 경우 의뢰 기업은 생산라인 조성과 운영 등에 들어가는 비용/시간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화이자’가 팬데믹 시기에 ‘론자’에 코로나19 백신 생산을 맡겼던 사례 등)

CRO 뜻은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으로 주로 신약 개발 과정에 자주 등장하는 임상시험 수탁기관을 의미합니다.

CDMO vs CRO vs CMO 비교

제약 업계는 업계 특징 상 CMO(임상시험 수탁기관), CRO(위탁 생산 기관), CDMO(위탁 개발 및 생산기관) 형태의 기업이 굉장히 많습니다.

구분CROCMOCDMO
업무 내용임상시험 수탁생산 위탁 수행개발~생산 일괄 위탁 수행
통상적 부가가치가장 낮음중간가장 높음

위 표에서 CRO 부가가치가 가장 낮다고 표현하긴 했으나 어디까지나 CMO, CDMO에 비해 낮다는 뜻이니 오해가 없으시길 바랍니다. (통상적인 의미이며 예외적으로 CRO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경우 역시 존재합니다.)

미국 생물보안법과의 연관성

미국 생물보안법이란?

미국 생물보안법(Biosecure Act)은 2024년 1월 25일 미국 하원의 ‘중국 공산당에 관한 특별위원회’가 발의한 법안으로 ‘미국인들의 개인 건강 및 유전에 관련된 정보를 해외의 위험 요소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법안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중국군과 공모한다는 혐의를 받는 바이오 기업미국 연방정부 및 행정기관 사이의 거래 금지

(2) 금지 대상이 되는 기업에 정부 보조금을 지급하거나 대출 자금을 사용하는 행위를 금지

타깃은 중국 CDMO 기업

CDMO-관련주-보도자료

이번 미국 생물보안법은 누가 봐도 중국의 바이오 기업, 그중에서도 CDMO 기업을 타깃으로 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중국 BGI(베이징 게놈 연구소) 그룹과 그 자회사인 MGI Tech 등이 있으며 마찬가지로 중국 Wuxi AppTec 역시 타깃으로 손꼽힙니다.

원래 미국의 제약산업은 지식 집약적인 바이오텍 산업에 역량을 집중하는 한편 생산은 중국 CDMO 기업 등에 외주를 주는 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는데요.

특히 Wuxi AppTec의 경우 2022년 기준 글로벌 CDMO 분야 세계 2위를 기록하는 등 규모가 정말 큰 회사인데요.

이번 법안 발의 이후 Wuxi AppTec 주가는 이전 대비 10% 이상 하락하는 등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반대로 Lonza 주가는 14.4% 상승했지요.)

한국 CDMO 관련주 종목에는 호재

미국이 중국 CDMO 기업을 때리기 시작하면서 국내 CDMO 기업들의 반사이익 수혜 가능성 역시 크게 상승했습니다. (미국 생물보안법 관련주)

실제로 올해 상반기 국내 증권가에서는 CDMO 테마주 종목이 많은 관심을 받았으며 아래에서 어떤 종목들이 CDMO 대장주 종목으로 분류되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DMO 관련주 알아보기

CDMO 관련주 주식 투자 Check Point

글로벌 시장에서 CDMO 기업들의 고객사들은 대부분 미국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미국에 주로 포진되어 있는 신약개발 회사들)

현재 미국 신약개발 기업 124개 중 무려 79%가 중국 바이오기업과 거래 중(출처 : 미국 BIO 설문조사)이며 이들 중 상당수가 향후 생물보안법 시행 이후 기존의 거래처(중국 CDMO)를 교체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여기서 신약개발 사업 특유의 메커니즘(전임상에서 임상, 그리고 상업화 과정으로 연결되는 길고 긴 개발 과정)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는데요.

향후 생물보안법이 시행된다 하더라도 이미 임상 2상 이상 단계에 있는 약품의 경우 CDMO를 바꾸는 게 생각처럼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제조공정 세팅 등이 이미 완료되었을 가능성이 높음)

그래서 오히려 전임상, 임상 2상 이전 단계에서 CDMO 교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해당 분야의 경우 중소형 CDMO 기업들이 많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출처 : 신영증권 보고서 & 한국경제 보도자료)

물론 대형 CDMO 역시 고유의 장점(임상에서 상품화에 이르는 전 공정 처리 가능)이 있어 함께 관심을 가지는 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바이넥스 (CDMO 대장주)

바이넥스-주가-흐름
바이넥스 주가 흐름 (실시간 테마주)

코스닥 상장사인 바이넥스(053030)는 국내에서 최초로 CDMO 사업에 참여한 기업으로 셀트리온 등을 주요 고객사로 둔 CDMO 대장주 종목입니다.

생물보안법의-진정한-수혜자
생물보안법의 진정한 수혜자 (신영증권 보고서)

특히 당사는 최근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제품 제조를 위한 FDA 실사를 받고 있으며 통과될 경우 향후 FDA, EMA 기준을 모두 충족시킬 가능성이 높아 많은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출처 : 신영증권 정유경 연구위원 보고서, ‘생물보안법의 진정한 수혜자’)

최근 바이넥스 주가 흐름을 보면 미국 생물보안법 관련주 수혜를 제대로 입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올해 1월 8,400원대였던 바이넥스 주가 7월에 18,000원대로 상승)

다만 중간에 등락이 좀 큰 편이라 투자 시 주의가 필요하며 7월 5일 바이넥스 주가는 전일 대비 17.51% 상승한 18,250원으로 장을 마쳤습니다.

에이프로젠 (CDMO 테마주)

에이프로젠-주가-흐름
에이프로젠 주가 흐름 (실시간 테마주)

코스피 상장사인 에이프로젠(007460)은 자회사인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003060)가 CDMO 사업을 수행 중이라 두 회사 모두 CDMO 테마주 종목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의 경우 충북 청주시에 있는 항체의약품 제조 공장에 세계 5위 구준의 항체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있는데요.

다만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주가의 경우 그동안 너무 잦은 유상증자와 무상감자의 반복으로 너무 많이 떨어진 상태라 현시점(2024년 7월 5일) 기준으로 투자 시 어느 정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7월 5일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주가는 전날 실행된 제3자 배정 유상증자로 600억 원을 조달하며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에이프로젠 주가 역시 6월 24일 최저가(1,005원) 기록 후 7월 초까지 상승 중이며 7월 5일 전일 대비 8.47% 상승한 1,306원으로 장을 마쳤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CDMO 관련주)

삼성바이오로직스-주가-흐름
삼성바이오로직스 주가 흐름 (실시간 테마주)

코스피 상장사인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는 CDMO 사업과 바이오의약품 개발 사업을 영위 중인 전형적인 CDMO 관련주 종목입니다.

당사는 의약품 위탁 생산 사업(CMO)과 위탁 개발(세포주 개발부터 초기 임상 과정) 사업(CDO) 사업을 모두 영위 중이며 총 60.4만 리터에 달하는 Capacity를 보유한 글로벌 대형 CDMO 기업입니다. (2022년 기준 글로벌 CDMO 4위 기록)

4월 8일 821,000원까지 올라갔던 삼성바이오로직스 주가는 5월 말 721,000원까지 떨어졌다가 6월 말부터 다시 80만원 대를 회복했습니다.

기타 CDMO 테마주

아래 표에 위에서 정리하지 못한 주요 CDMO 테마주(미국 생물보안법 테마주) 종목들을 정리했으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종목미국 생물보안법 테마주 분류 이유
한미약품저분자화합물 CDMO 사업
에스티팜합성의약품 CDMO 사업
차바이오텍미국 법인(마티카바이오)이 CDMO 시설 보유
SK바이오사이언스CMO 분야 강점 보유, CDMO 사업 진출 가능성 높음

함께 알면 좋은 업종별 대장주

커피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원두 테마주 수혜주

농약 비료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장마 태풍 테마주 수혜주

석유화학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화학 주식 테마주 수혜주

+ 이 글은 관련 정보를 개인 생각과 정리한 것으로 종목 추천글이 아닙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