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K 뷰티 테마주 수혜주

화장품 관련주 정리 글입니다. 화장품은 오랫동안 중국 수혜를 입었지만 반대로 중국 때문에 고생 역시 정말 많이 했던 테마인데요. 이 글에서는 새로운 판로 개척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는 화장품 대장주 종목을 쉽게 알아보겠습니다.

+ 이 글에서는 각 종목들이 왜 해당 섹터의 실시간 테마주인지를 설명하고 어떤 이슈(키워드)와 관련해 주가가 변동 중인지를 함께 살펴봅니다.

+ 주가는 항상 변동하니 참고만 해 주시길 바라며 대장주 역시 상황에 따라 수시로 변동하니 이 점 역시 유념해 주시길 바랍니다.

화장품 관련주 주요 이슈 알아보기

역대 최대 수출 기록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국내 누적 화장품 수출액은 74억 달러(한화 약 10조 원)을 기록했으며 이는 역대 최대 기록입니다.

과거 2021년 3분기 누적 수출액(68억 달러)이 가장 높은 기록이었는데 이번에 드디어 이를 갱신한 셈입니다.

이번 기록이 의미가 큰 건 그동안 중국 수출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던 국내 화장품 수출이 부단한 노력 끝에 다시 정상화되었다는 뜻이기 때문인데요.

실제로 그동안 높은 중국 의존도를 지적받았던 국내 화장품은 이제 미국과 유럽, 일본, 동남아 등 판로를 다변화하는 데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시장 다변화에 성공

화장품-관련주
글로벌경제신문 보도자료

코로나19 사태와 중국 로컬 화장품 브랜드의 대두 이후 중국 내 판매량이 눈에 띄게 감소하면서 국내 화장품 업계는 (생존을 위해) 미국과 유럽, 동남아시아 등 새로운 판로 개척을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대표적으로 국내 화장품 대장주 종목 중 하나인 아모레퍼시픽이 글로벌 리밸런싱(중국 시장 비중을 줄이고, 북미 등 기타 지역 매출을 확대) 전략을 추진해온 것을 들 수 있는데요.

관세청 발표에 따르면 2024년 7월 기준 화장품 미국 수출액(17억 4564만 달러)은 처음으로 중국 수출액(16억 6507만 달러)을 넘어섰으며 이제 미국은 국내 화장품이 가장 많이 수출되는 국가가 되었습니다.

달바 IPO 임박 소식 주목 필요

화장품-대장주
아주경제 보도자료

국내 대표 비건 화장품 브랜드인 달바(d’Alba)를 운영하는 비모뉴먼트가 2025년 1분기 중 상장할 예정이라고 밝혀 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대표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으로 선정)

승무원 미스트로 유명해진 달바는 비건 화장품이라는 컨셉을 무기로 국내와 국외 시장에서 승승장구하고 있는데요.

2023년 달바 매출은 전년 대비 38.3% 증가한 2008억 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의 경우 전년 대비 무려 136.3% 상승한 345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2024년 5월 아마존 집계 기준 미국과 영국, 캐나다, 독일에서 미스트 부문 동시 판매 1위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달바 화장품은 일본에서도 굉장히 잘 팔리고 있는데 2024년 달바 일본 내 매출은 작년보다 3배 증가한 300억 원이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화장품 대장주 알아보기

국내 화장품 관련주 종목은 크게 전통의 대형주(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 ODM주(한국콜마, 코스맥스 등), 그리고 최근 주목받고 있는 인디뷰티(브랜드 인지도가 아직 높지 않은 중소 브랜드)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아모레퍼시픽 (화장품 대장주)

아모레퍼시픽-주가-흐름
아모레퍼시픽 주가 흐름 (K 뷰티 대장주)

코스피 상장사 아모레퍼시픽(090430)은 LG생활건강과 더불어 국내를 대표하는 화장품 대장주 종목 중 하나로 스킨케어, 메이크업, 헤어케어, 바디케어 등 다양한 뷰티 관련 제품을 개발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1. 스킨케어 : 설화수, 헤라, 아이오페, 라네즈, 이니스프리 등 브랜드 보유
  2. 메이크업 :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 중이며 에뛰드의 경우 젊은 층을 겨냥한 브랜드
  3. 헤어 및 바디케어 : 려, 미장센, 해피바스, 일리윤 등 브랜드 보유
  4. 기타 : 덴탈케어(메디안, 송염 등), 이너뷰티, 뷰티 디바이스 등

중국 시장의 성공에 힘입어 가장 폭발적으로 성장했던 기업이지만 반대로 중국 시장 부진으로 고생을 가장 많이 한 기업이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글로벌 리밸런싱 전략의 성공으로 2024년 상반기 미주 매출과 EMEA(유럽, 중동, 아프리카) 매출이 각각 전년 대비 65%, 182% 성장하는 성과를 거두어 시장에서 K 뷰티 대장주 종목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2024년 10월 28일 아모레퍼시픽 주가는 전일 대비 2.64% 상승한 120,400원으로 장을 마쳤으며 당일 최고가는 121,400원을 기록했습니다.

한국콜마 (화장품 관련주)

한국콜마-주가-흐름
한국콜마 주가 흐름 (K 뷰티 대장주)

코스피 상장사 한국콜마(161890)는 국내를 대표하는 화장품 ODM(Original Design Manufacturing),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기업 중 하나로 화장품 제조 분야에 높은 경쟁력을 가진 화장품 관련주 종목입니다.

당사는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애터미, 더페이스샵, 에이블씨앤씨(미샤, 어퓨 등)의 제품을 제조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브랜드의 경우 에스티 로더, 로레알, P&G, 존슨앤드존슨, 유니레버, 슈에무라 등의 제품을 제조 중입니다.)

이 밖에도 당사는 콜마비앤에이치(Colmar BNH)라는 브랜드로 건강기능식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HK이노엔(HK Inno.N)이라는 자회사를 통해 의약품과 헬스케어 제품 역시 함께 제조하고 있습니다.

2024년 10월 28일 한국콜마 주가는 전일 대비 1.96% 상승한 67,700원으로 장을 마쳤으며 당일 최고가는 68,300원을 기록했습니다.

실리콘투 (화장품 테마주)

실리콘투-주가-흐름
실리콘투 주가 흐름 (K 뷰티 관련주)

코스닥 상장사 실리콘투(257720)는 위의 두 회사들과 달리 화장품을 직접 제조하는 기업이 아닙니다.

당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플랫폼을 통해 한국의 화장품을 세계로 공급하는 글로벌 유통 기업이며 사업 내용이 글로벌 유통이다 보니 한국 화장품 수출 동향에 주가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편입니다. (수출 중심 화장품 테마주)

당사는 스타일코리안(StyleKorean)이라는 온라인 플랫폼 및 여러 글로벌 이커머스 사이트를 거점으로 한국 화장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특히 아시아와 북미, 유럽 등 국가에 촘촘한 유통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4년 10월 28일 실리콘투 주가는 전일 대비 5.15% 상승한 37,800원으로 장을 마쳤으며 당일 최고가는 37,900원을 기록했습니다.

기타 K 뷰티 관련주

이 밖에 아래와 같은 기업들이 시장에서 K 뷰티 관련주(화장품 수혜주) 종목으로 분류되고 있으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종목K 뷰티 관련주 분류 이유
LG생활건강국내 대표 화장품 대형주
파마리서치재생 화장품 제조
코스맥스주요 화장품 ODM 기업
하이트진로화장품 투자조합에 투자
씨앤씨인터내셔널색조화장품 제조
클래시스피부미용 의료기기 기업

함께 알면 좋은 업종별 대장주

조류독감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조류인플루엔자 테마주 수혜주

미용기기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테마주 수혜주

통신장비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5G, 6G 테마주 수혜주

+ 이 글은 관련 정보를 개인 생각과 정리한 것으로 종목 추천글이 아닙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