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라이트 관련주 TOP 4 (삼화전자, 상신전자, 씨큐브, EG 주가)

4월부터 희토류의 대체 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페라이트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이는 미국과 중국 사이의 자원분쟁(반도체 vs 희토류)과도 관련이 있는데요. 

오늘은 페라이트가 무엇인지, 왜 주목받고 있는지와 함께 대표적으로 알려진 페라이트 관련주들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페라이트는 무엇인가?

페라이트(Ferrite)는 산화철을 기본 베이스로 해서 여기에 망간이나 바륨, 니켈 등의 금속 원소를 추가해서 만들어낸 세라믹이며 자성(자석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원래 배터리 등을 만들 때 주류로 사용되던 물질이 바로 이 페라이트이며 이후 희토류 성분으로 만든 자석이 이를 대체하게 되었다고 이해하면 맞을 것 같습니다.

 

* 페라이트 자석 vs 희토류 자석

구분 페라이트 자석 희토류 자석
장점 저렴하다.  자력이 강하다. (가벼운 차 제작 가능)
단점 자력이 약하다. (차가 무거워짐) 페라이트보다 비싸다.

페라이트 자석과 희토류 자석은 분명히 서로를 대체할 수 있지만 장단점 차이가 분명합니다. 가성비에서는 페라이트가 우세하지만 자력이 약해 전기차 배터리로 사용 시 차가 무거워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희토류 자석과 같은 크기의 자력 확보를 위해서는 결국 더 많은 양의 자석을 넣는 수밖에 없기 때문) 

* 페라이트는 왜 주목받고 있는가?

4월 24일 광물 전문 매체인 마이닝(Mining)에서 전기차 대장주인 테슬라가 차세대 전기차부터는 희토류 베이스 자석을 사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기사가 나온 것이 가장 큽니다.

 

이는 미국 기업인 테슬라 입장에서 자국(미국)과 중국과의 자원 분쟁에서 희토류 수출 규제 이슈가 자꾸 나오는 리스크를 피하기 위함으로 여겨집니다.

 

전기차 대장주인 테슬라가 정말로 페라이트 베이스 배터리를 사용하게 된다면 확실히 앞으로 페라이트 수요 역시 증가할 것이고 이는 국내외 페라이트 관련주들에게도 큰 기회로 작용할 것입니다.

 

다만 테슬라가 앞으로 페라이트 베이스 배터리를 사용한다는 것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는 점은 확실히 짚고 넘어가셔야 합니다. (즉, 현재까지는 루머에 자본이 움직이고 있는 상황임)

페라이트 관련주 TOP 4 정리



삼화전자 주가 흐름 (3M)

① 삼화전자 주가 (삼화전기 / 삼화콘덴서)

페라이트 관련주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종목 중 하나인 삼화 삼 형제입니다. (삼화전자, 삼화전기, 그리고 삼화콘덴서)

 

엄밀히 말해 페라이트 관련 사업을 영위 중인 기업은 페라이트 코어를 제조 중인 삼화전자 하나이며 나머지 2개 기업은 해당 이슈와 관련해서는 2 등주 역할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삼화콘덴서는 삼화전자와 삼화전기 양 사의 대주주 역할을 수행 중)

 

삼화전자는 현대모비스와 함께 개발한 페라이트 코어를 제조하는 기업으로 해당 분야에서는 높은 기술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는 기업입니다.

 

다만 삼화전자 주가의 경우 3년 넘게 3천 원대에서 장기 횡보하다가 이번 테슬라 페라이트 이슈를 타고 말 그대로 폭등한 케이스라 투자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현재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 중)



EG 주가 흐름 (3M)

② EG 주가 

EG는 페라이트를 만들 때 기본 베이스가 되는 산화철을 제조하는 기업입니다.

 

특히 당사는 시장에서 페라이트 관련주 이외에 전기차 관련주로도 분류되는 종목인데요. 이는 올해 3월부터 전기차 제조사들이 LFT(리튬, 인산, 철) 배터리 이용을 검토함에 따라 산화철을 제조하는 당사 역시 이의 수혜를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당사 사업 분야는 매출액 점유율 순으로 나열하면 소재사업(52.6%), 산화철 사업(31.3%), 에너지환경 사업(15.0%) 순이며 당사가 제조 중인 산화철은 SKM, SRP 2개 브랜드로 시장에 공급되고 있습니다.

 

특히 스피커용 자석 등에 사용되는 SKM 브랜드 매출 점유율이 높으며 전기차 모터용 자석의 경우 SRP 브랜드를 통해 배터리 제조사에 공급되고 있습니다.

 

EG 주가 흐름을 보면 3월 LFT 배터리 이슈와 4월 페라이트 이슈 때 각각 거래량이 강하게 몰렸던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5월 19일 기준 EG 주가는 조정세에 들어간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씨큐브 주가 흐름 (3M)

③ 씨큐브 주가

씨큐브는 원래 자동차 도장(페인트)에 사용되는 안료를 제조하는 기업으로 페라이트와 직접적인 연관은 없는 기업입니다만 산화철 관련 특허를 보유 중이라는 이유로 페라이트 관련주로 분류되었습니다.

 

씨큐브가 보유 중인 산화철 관련 특허는 ‘판상 산화철 제조 방법과 여기에서 제조된 판상 산화철 안료 특허’이며 단순히 산화철과 관계있다는 이유로 페라이트 관련주에 편입된 케이스라 좀 애매하긴 합니다.

 

다만 경영실적은 상당히 양호한데요. 매출액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이 모두 성장 중이며 2022년 매출액 15.8%, 영업이익 58.5%, 당기순이익 54.3%가 각각 증가했습니다.

 

재정건전성 역시 좋습니다. 부채비율 33.19%, 당좌비율 166.94%, 유보율 1,329.28%로 자본을 많이 쌓아놓은 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씨큐브 주가 역시 삼화전자 주가와 유사한 형태입니다. 7천 원대 언저리에서 장기 횡보하다가 최근 테슬라 페라이트 도입 검토 이슈에 1만 원 대까지 급등 후 재조정에 들어간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상신전자 주가 흐름 (3M)

④ 상신전자 주가

상신전자는 원래 EMI 등 노이즈필터를 전문적으로 제조하는 기업인데 5월 초 페라이트코어를 사용한 리액터(전류 중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어하는 제품)를 개발했다는 소식에 페라이트 관련주로 편입된 케이스입니다.

 

전체 매출액 중 노이즈필터 사업 점유율이 가장 높아(57.5%) 주력 사업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음으로 코일 사업과 리액터 사업 순으로 점유율이 높습니다. (당사가 제조하는 리액터는 주로 에어컨, 태양광 패널, 자동차 등에 사용)

 

상신전자 주가 역시 큰 이슈 없이 3천 원 대에서 횡보하다 5월 초 페라이트 이슈로 급등 후 현재 조정 단계에 있습니다. (5월 19일 상신전자 주가 5,660원 기록)


개인적으로는 현재의 페라이트 관련주 열풍이 좀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테슬라가 페라이트를 쓰겠다고 결정한 게 아닌 상황에서 관련 테마주들 주가가 단기간에 너무 많이 올랐거든요. 즉, “테마가 있으나 아직 실체가 없는 상황 + 과도하게 올라간 주가 =???”인 상황이며 확언까지는 못하겠지만 투자에 신중하시라는 말씀밖에 드릴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이런 테마가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니 참고는 해 두시라는 뜻으로 페라이트 관련주들을 정리해 보았으니 잘 참고하시어 각자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들 (페라이트, 희토류 관련주 포스팅)

 

상신전자 주가 페라이트 관련주 편입으로 상승 (ft. 미래나노텍)

얼마 전부터 페라이트 관련주 동향에 대해 자주 글을 쓰게 되는데요. 이번에는 상신전자 주가가 페라이트 관련 이슈 발생으로 상한가를 기록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관련 정보를 정리해 보겠

cokenpike.com

 

 

 

삼화전자, 삼화전기, 씨큐브 주가 페라이트 이슈로 급등(전기차 관련주)

테슬라 페라이트 관련주들이 다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달 말에 이미 이슈가 되었던 내용이지만 5월 2일 일부 외신에서 관련 소식을 다루면서 삼화전자, 삼화전기, 그리고 씨큐브 주가

cokenpike.com

 

 

희토류 관련주 TOP 5 (유니온머티리얼 등 5개 대장주)

4월 23일에 중국의 희토류 관련 기술 수출제한 검토 소식이 다시 나오면서 희토류 관련주 주가가 다시 반응 중입니다. 오늘은 희토류 관련 이슈 동향과 희토류 관련주 TOP 5를 함께 정리해 보겠습

cokenpike.com

※ 이 포스팅은 관련 정보를 개인 생각과 정리한 것으로 종목 추천글이 아닙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