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문형 에어컨 브랜드 추천 순위 정리 글입니다. 창문형 에어컨은 기존 강자인 삼성전자, LG전자뿐만 아니라 파세코, 쿠쿠, 캐리어 등 다양한 브랜드들이 있는데요. 각 브랜드별로 어떤 특징과 장단점이 있는지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글의 순서
창문형 에어컨 잘 고르는 법
창문형 에어컨을 잘 고르기 위해서는 아래의 내용들을 미리 확인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사용 공간 및 냉방 능력 확인
창문형 에어컨은 보통 방 하나 등 독립적인 공간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 공간의 크기에 맞는 냉방 능력을 고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는 1평(3.3평방미터) 당 약 400~600W 정도의 냉방 능력이 적절합니다. (예 : 6평 방에는 약 2,000~2,500W 급 에어컨이 적절)
공간(평형) | 권장 냉방능력(W) |
5평 | 1,800~2,200W |
7평 | 2,400~2,800W |
10평 | 3,000~3,600W |
보통 국내 원룸의 경우 6평~10평이 가장 많으니 원룸에 사시는 분들 중 창문형 에어컨 구입을 생각하는 분이라면 위의 내용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음 수준
창문형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형인 제품이 제법 있으며 이는 사용 중 소음 이슈가 발생할 가능성을 내포합니다.
통상 소음이 40db 이하이면 상대적으로 조용한 편으로 인정되는 수치이니(도서관 수준) 구입 전 꼭 정보를 확인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설치 호환성 (창문 크기)
창문형 에어컨은 구조 상 설치 공간 제약이 존재하는 편이므로 반드시 창문 높이와 폭을 미리 측정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창문 세로형 모델이 많으며 설치 키트를 제공할 경우 설치 난이도가 확 내려가니 설치 키트 제공 여부 역시 확인해 주세요.
창문형 에어컨 전기세 아끼는 법
창문형 에어컨 전기세, 얼마나 나올까요?
6평 원룸에 주로 사용되는 정격소비전력 0.82kW(820W) 제품을 기준으로 창문형 에어컨 전기세 시뮬레이션을 해 보면 월 전기요금이 약 25,000~45,000원 나옵니다. (하루 8시간 매일 사용 기준)
소비전력 | 하루 8시간 사용 기준 월 전력소비 | 월 창문형 에어컨 전기요금 예상 |
700W | 0.7kW X 8시간 X 30일 = 168kW | 약 20,000~40,000원 |
820W | 0.82kW X 8시간 X 30일 = 196kW | 약 25,000~45,000원 |
1000W | 1kW X 8시간 X 30일 = 240kW | 약 30,000~60,000원 |
다만 사람마다 사용 조건이 다르고 위 계산은 어디까지나 하루 8시간씩 매일 사용했을 때를 기준으로 하는 만큼 실제 창문형 에어컨 전기요금 결과는 얼마든지 다를 수 있습니다.
창문형 에어컨 전기세 아끼는 법
✔ 에너지 효율 1등급 제품 구입
✔ 인버터가 붙어있는 제품 구입
인버터가 있으면 설정 온도가 되면 자동으로 모터를 조절하기 때문에 창문형 에어컨 전기요금 절감에 큰 도움이 됩니다. (평균 소비전력 30~50% 절약)
(참고) 단창 창문형 에어컨 설치
단창 창문형 에어컨 설치 시 고려 사항
✔ 설치 안정성
단창(유리 한 겹으로 된 창문)은 보통 창틀이 얇고 유리도 약한 경우가 많아 설치할 때 파손 위험 역시 존재합니다.
설치 브라켓이나 프레임을 별도로 제공하는 제품인지 확인하고 가능하면 보조 지지대, 설치 키트 등을 함께 제공하는 제품을 구입하는 게 좋습니다.
✔ 단열 문제 고려
단창은 외기 유입이 쉽고 에어컨 주변에 틈이 생기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아래 자재들을 함께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 보세요.
- 폼 보드/에어컨 차단 패널 (단열 및 외기 차단용)
- 우레탄 폼/실리콘 (틈막이)
- 방충망 테이프 (벌레 차단용)
✔ 소음 및 진동
단창은 구조적으로 얇아 진동 및 소음 이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방법을 함께 사용해 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방진패드(또는 고무 매트)를 바닥에 깔아 진동 완화
- 창문 유리 대신 아크릴 차단판 설치 (진동 전달 감소)
추천하는 단창 창문형 에어컨
✔ 세로형 슬림 디자인이 단창에 더욱 적합
✔ 파세코, 위니아 등 일부 브랜드에서 단창 설치 키트 별도 제공 중
창문형 에어컨 브랜드 추천 순위
창문형 에어컨 브랜드 순위 (ft. 네이버, 다나와)

위 이미지는 네이버 쇼핑 기준 창문형 에어컨 브랜드를 정렬한 내용입니다.
국내 창문형 에어컨 시장은 2019년 4만 대를 시작으로 꾸준히 성장해 2023년에는 약 70만 대까지 올라왔으며 2025년 최대 100만 대 돌파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전체 에어컨 시장의 40% 수준)
현재 국내 창문형 에어컨 시장의 절대 강자는 파세코이며 시장 점유율이 무려 약 60% 가까이 나오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일종의 1군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쿠쿠, 신일, 캐리어, 귀뚜라미 등의 브랜드들이 있습니다.
다음으로 각 브랜드 창문형 에어컨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파세코 창문형 에어컨 (프리미엄3)

파세코는 2018년 국내 최초로 창문형 에어컨을 출시한 브랜드로 당시에는 생소했던 제품을 성공적으로 상용화해 1년 만에 매출 10배 이상을 기록하는 등 이 분야에서는 독보적인 위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당사는 실외기 없이 사용 가능한 “셀프 설치형” 개념을 처음 정착시켰으며 “창문형 에어컨 = 파세코”라는 이미지를 만드는 등 시장 내에서 압도적인 점유율 1위를 기록 중입니다. (창문형 에어컨 브랜드 추천 순위 1위)
파세코 창문형 에어컨 장점
✔ 전용 창문형 모델 다수 보유
✔ 단창/이중창 설치 키트 기본 제공 (단창 창문형 에어컨 찾는 분에게 추천)
✔ 자가 설치 가능, 시공비 절감
✔ 에너지 효율이 우수하며 인버터 적용 제품 다수 보유
✔ 국내 브랜드로 우수한 AS 평판
파세코 창문형 에어컨 단점
✔ 저가형 모델의 경우 소음 이슈 간혹 발생
✔ 일부 모델의 경우 냉방 범위가 좁고 제습력이 약하다는 평판
대표 제품 (파세코 프리미엄3)
✔ 파세코 프리미엄3 PWA-3600PS
✔ 에너지 효율 1등급, 듀얼인버터로 전기세 절약 가능
✔ 6평 모델 (2025년형)
✔ 최저 소음 33.9db
2025년 6월 다나와 기준 파세코 프리미엄3 최저가는 859,000원입니다.
삼성전자 비스포크 윈도우핏
삼성전자는 2023~2024년부터 비스포크 라인으로 창문형 에어컨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했으며 창문형 에어컨 브랜드 순위 2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창문형 에어컨 장점
✔ 프리미엄 디자인 (비스포크 스타일) : 인테리어 고려한 다양한 색상 제공
✔ 저소음, 저진동 기술
✔ 스마트 싱스 연동 가능 : 스마트폰 원격 제어 가능
✔ 인버터 방식 : 전기 요금 절약
삼성전자 창문형 에어컨 단점
✔ 가격대 파세코 제외 중소기업 제품 대비 다소 높음
✔ 설치 호환성 제한적 (일부 창문에 안 맞을 수 있음)
대표 제품 (삼성전자 비스포크 윈도우핏)

✔ 삼성전자 비스포크 윈도우핏 무풍 AW06C7155GWAZ
✔ 6평 (2023년형)
✔ 에너지 효율 1등급, 인버터 장착 : 전기 요금 부담 감소
✔ AI 운전, 간접 냉방, 스마트폰 제어, 자가 증발 기능 등
2025년 6월 다나와 기준 삼성전자 비스포크 윈도우핏 최저가 753,050원입니다.
LG전자 오브제컬렉션 엣지
LG전자는 2022년 창문형 에어컨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했으며 삼성전자와 함께 프리미엄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함께 국내 창문형 에어컨 시장 점유율 2위권 기록 중)
LG전자 창문형 에어컨 장점
✔ 우수한 냉방 기술력에 대한 신뢰도 높음 (기존 에어컨 시장 강자)
✔ 에너지 효율 우수 제품 다수 (인버터)
✔ 풍부한 스마트 기능 (ThinQ 앱 연동)
LG전자 창문형 에어컨 단점
✔ 일부 제품 전문 설치 필요
✔ 가격대가 파세코 제외 다수 중소기업 제품보다 높음
대표 모델 (LG전자 오브제컬렉션 엣지)

✔ LG전자 오브제컬렉션 엣지 WQ05FEWCS
✔ 5평 형 모델 (2025년형)
✔ 에너지 효율 1등급, 듀얼 인버터 : 전기 요금 부담 감소
✔ AI 운전 및 건조, 스마트폰 제어, 자가 증발 등
2025년 6월 다나와 기준 LG전자 오브제컬렉션 엣지 최저가는 964,340원입니다.
쿠쿠전자 인스퓨어 창문형 에어컨
생활가전 브랜드로 유명한 쿠쿠전자 역시 보급형 창문형 에어컨을 출시했으며 가성비를 무기로 창문형 에어컨 브랜드 추천 제품으로 자주 거론됩니다.
쿠쿠전자 창문형 에어컨 장점
✔ 가격대가 저렴한 편
✔ 깔끔한 외형
✔ 기본 기능에 충실 (냉방/제습/타이머 등)
쿠쿠전자 창문형 에어컨 단점
✔ 인버터 없는 제품의 경우 소음 발생 이슈 일부 존재
✔ 고급 기능 다소 부족 (스마트폰 연동 등)
✔ 브랜드 인지도 대비 에어컨 신뢰도 아직 다소 낮은 편
대표 모델 (쿠쿠전자 인스퓨어 창문형 에어컨)

✔ 쿠쿠전자 인스퓨어 창문형 에어컨 CA-BWNLDE0630NW
✔ 6평 형 모델 (2025년형)
✔ 최저 소음 : 31db
✔ 에너지 효율 1등급, 듀얼 인버터 장착 : 전기 요금 부담 감소
✔ 필터 청소 알림, 자가 증발 등 기능 제공
2025년 6월 다나와 기준 쿠쿠전자 인스퓨어 창문형 에어컨 최저가는 582,300원이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타 창문형 에어컨 브랜드 순위
이 밖에 아래와 같은 브랜드들이 시장에서 창문형 에어컨 브랜드 순위 중 자사만의 특정 포지션을 점유하고 있으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창문형 에어컨 브랜드 순위 | 장점 | 단점 |
캐리어 | 냉방 성능 강점 | 셀프 설치 어려울 수 있음 |
신일 | 소형, 가성비 | 소음 이슈 간혹 있음 |
귀뚜라미 | 안정적 성능 제공 | 냉방 전문 이미지 아직 약함 |
함께 읽으면 좋은 글들
▶ 미니건조기 추천 순위 1분 정리 / 장점 단점 인기 브랜드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