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 뜻
주식거래를 하다 보면 PER이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된다. 여기서 PER은 기업의 성장성을 분석하는 지표 중 하나인데 아래에서 PER 뜻과 주식투자 시 활용하는 방법 등에 대해 정리해 보겠다.
PER은 주가수익비율을 의미하며 현재 주가가 기업의 단위수익과 비교했을 때 비싼지 싼 건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이다.(Price Earnings Ratio의 약자) PER 계산식은 「주가÷EPS(주당 순이익)」이며 여기에서 말하는 EPS(주당 순이익)은 일반적으로 기업이 1년 동안 창출한 순이익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값이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주가에는 장래에 기대되는 수익 확대가 포함되기 때문에,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PER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PER 활용방법
PER을 통해 주당 이익에 몇 배의 주가가 붙어 있는지를 계산할 수 있으며 동시에 투자한 금액이 몇 년 동안의 기간을 통해 회수할 수 있는지 조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당 당기순이익이 1만 원인 기업을 예로 들어보자. 이 기업의 주가가 15만 원인 경우 PER은 주가 15만 원÷주당 당기순이익 1만 원이므로 투자금을 10년 동안의 기간 동안 회수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여기서는 투자 시점 기준의 당기순이익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앞으로 매년 정확히 같은 당기순이익이 발생할 가능성은 거의 없으므로 어디까지나 기준값으로 사용한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통상적으로 기업의 PER이 높으면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EPS가 똑같이 500원인 A사와 B사가 있다고 가정해 보자. A사의 PER이 10배였을 경우, 주가는 500원(EPS) ×10배(PER)=5,000원이 된다. 한편 B사의 PER이 20배라면 B사 주가는 500원(EPS) ×20배(PER)=10,000원이 되어 단순히 놓고 보았을 때 PER의 높은 종목은 주가도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PER이 낮은 종목이라면?
기업의 당기순이익이 적자가 되면 「PER=주가÷EPS(주당 순이익)」의 산식에 근거해 마이너스의 숫자가 나오기 때문에 PER 역시 마이너스가 된다.
발행주식 매수가 1만 주로 주가가 10만 원, 당기순이익이 1억 원 적자인 종목을 예로 계산해 보자. 이 경우의 PER은 10만 원÷(-1억 원÷1만 주)의 계산식에 따라 -10이 된다. 그렇다면 PER이 마이너스인 종목은 반드시 피하는 편이 좋냐고 묻는다면 반드시 그렇다고는 말할 수 없다. 주가의 하락 원인에 따라 오히려 저평가된 주식일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다만 PER이 극단적으로 낮은 기업이라면 주의하는 편이 좋다. 실제로 PER이 5배 이하로 방치되고 있는 기업이라면 통상적으로 주가가 오를 전망이 거의 없다고 보는 편이 많기 때문이다. (리스크가 높은 종목으로 본다는 뜻)
즉, 단순히 PER이 낮다고 저평가된 종목이라고 여기는 것은 위험하다는 뜻이다. (매수 후 주가가 상승해주지 않는다면 아무 의미가 없기 때문) 안일하게 PER가 낮기 때문에 매수하는 것보다는 업종별 성장률이나 주변환경, 다양한 리스크를 생각한 뒤에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