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용어 설명-EPS

EPS 뜻

EPS는 “Earnings Per Share”의 약어로, 주당순이익으로 부르기도 한다. 기업을 평가할 때 가장 흔히 사용하는 지표의 하나로 1주당 이익이 얼마나 나오는지를 나타낸다. EPS 계산 산식은 당기 순이익÷발행주식수이다. 여기서 당기 순이익은 기업이 1 사업연도(통상 1년을 의미)에 얻은 수익에서 세금 등을 포함한 모든 비용을 뺀 이익을 의미한다. 산식에서 드러나듯이 EPS 값은 기업의 당기 순이익의 증감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 기본적이지만 반대로 발행주식수의 증감에 따라서도 변화한다. 그래서 EPS를 사용해서 종목 비교를 할 때는 주식분할 및 자사주 매입 등으로 유발되는 발행 주식수의 변동사항 역시 고려해야 한다.

EPS는 “당기순이익÷발행주식총수”로 계산할 수 있다고 했다. 예를 들어 1억 5000천만 원의 순이익을 낸 A사와 B사를 비교해 보도록 하자. A사의 발행주식수가 10만 주라고 가정하면 EPS는 당기순이익(1억 5000천만 원) ÷ 발행주식총수(10만 주) = 1,500원이라는 결과가 나온다. 한편 B사의 발행주식수는 20만 주였다고 가정해 보자. B사의 EPS는 당기순이익(1억 5000천만 원) ÷ 발행주식총수(20만 주) = 750원이 되고, 주당 이익은 A사 쪽이 높아진다는 결과가 나온다.

EPS 계산산식을 들여다보자.

① 당기순이익을 사용하는 이유

당기순이익이란 손익계산서상의 이익에서 법인세나 주민세, 사업세 등의 등을 공제한 이후의 이익을 말하며 EPS는 경상이익이나 영업이익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당기순이익으로 계산합니다. 이는 주주에게 배당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것이 경상이익이나 영업이익이 아니라 당기순이익이기 때문이다.

② 발행주식총수를 사용하는 이유

발행주식총수란 회사가 미리 정관에 기재한 주식수 중 이미 시장에 발행한 주식수를 말한다. 당기순이익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고 해서 단순히 주당 당기순이익이 증가한다고는 말할 수는 없으며 앞서 언급한 A사 B사의 예와 같이 증자로 발행주식총수가 늘어난 경우, 주당 EPS는 오히려 내려갈 수도 있다는 것을 투자자들은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즉, 기본 발행주식총수가 늘면 EPS는 내려가고, 반대로 발행주식총수가 줄어들면 ESP는 오르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사주를 매입하면 EPS가 상승한다. 자사주 매입이란 기업이 자사의 발행주식을 스스로의 자금으로 환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A사의 주식을 A사가 산다면 시장에 나오는 주식의 수가 줄어들어 배당금으로 지불하는 금액을 줄일 수 있으며 아울러 발행주식총수가 줄어들어 EPS가 증가하는 결과로 연결된다. 주식병합을 했을 때도 EPS는 상승하게 되는데 주식병합이란 그 이름대로 여러 주식을 한 주식에 통합하여 발행 주식 총수를 줄이는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주식수가 변해도 회사의 순이익은 변하지 않으니 투자자들은 이 부분에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