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주회사 뜻
지주회사란 여러 개의 기업에 대하여 해당 기업들을 지배할 목적으로 주식을 보유 중에 있는 기업형태를 말한다. 통상 그룹이라고 부르는 형태에서 자주 나타나며 예를 들어 일진그룹의 경우 일진홀딩스가 지주회사로 존재하며 이 밑에 일진전기, 일진다이아몬드 등의 자회사가 존재하는 식이다.
지주회사는 일반적으로 그룹 전체의 기업전략이나 의사 결정에 집중하며 여러 자회사들은 지주회사가 설정한 기업 전략에 맞춰 자사의 사업 전략을 별도로 책정하고 의사결정과 운영행위를 자체적으로 수행한다. 국내에서는 2003년 LG그룹이 최초로 지주회사 제도를 시행한 바 있다. 현행법(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지주회사는 자산총액이 5000억 원 이상이어야 하며, 자산총액 중 자회사 주식가액 합계의 비율이 50% 이상을 차지하여야 한다.
지주회사의 종류
지주회사는 통상 사업지주회사와 순수지주회사로 나뉜다. 사업지주회사는 주식을 소유하는 한편 사업을 직접 수행하는 회사이며, 순수지주회사는 주식은 소유하되 사업을 직접 하지 않는 회사라는 차이가 있다. 순수지주회사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배당수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장 자회사와의 시너지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국내 대기업 그룹의 경우 많은 기업들이 직접 독립사업을 수행하면서 계열사 주식을 보유하는 사업지주회사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지주회사의 장점과 단점
지주회사가 되면 공정거래법 출자총액제한제도(순자산 25% 이상의 출자를 금지하는 제도)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순환출자기업과 비교해 기업 지배구조를 투명하게 가져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자회사 리스크 관리와 레버리지 효과 극대화, 경영권 승계 도움 등의 효과 역시 존재한다.
단점으로는 초기자금이 많이 소모되며 자본집중의 부정적 효과 방지를 위해 여러 가지 행위제한의무를 짊어지게 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부채비율 200% 미만 유지, 자회사 지분 40%(상장사의 경우 20%) 이상 보유 의무 등이 그것이다.
아울러 모든 지주회사들이 그런 것은 아니지만 많은 지주회사들의 주가를 보면 상당 부분 저평가되어 있는 점을 부정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상장된 계열사를 보유한 지주회사의 경우 해당 기업의 가치를 중복해 계산할 수 없다는 지주사 디스카운트가 적용되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지주회사의 성격상 실적이 좋지 않은 계열사 역시 부득이하게 가지고 가야 하는 점, 경영권 승계를 위해 의도적으로 지주회사 주가를 낮게 유지하는 점 역시 지주회사 주가가 통상 낮게 유지되는 원인이다. 물론 이런 식으로만 본다면 비상장 계열사만 보유 중인 상장 지주회사가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이 역시 케이스마다 다르게 적용되기 때문에 신중한 투자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