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센터 소형가전제품 버리는 법 정리 포스팅입니다. 이 글에서는 소형가전 무료수거 방법과 소량(5개 미만)의 가전제품을 버릴 때 주민센터에 소형가전제품 버리는 방법을 각각 정리해서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글의 순서
소형가전제품, 어떻게 버려야 할까?


가정이나 직장 등에서 사용하던 소형가전제품을 버릴 때 어디에 버려야 하는지 난감할 때가 많습니다.
아파트 등에 있는 쓰레기 집하장에 가 보면 간혹 커피포트나 에어프라이어 등을 그냥 버린 게 보일 때도 있는데요.
물론 어디에 버려야 하는지 몰라서 그러셨겠지만 소형가전제품을 버리는 올바른 장소와 방법은 따로 있습니다.
아래에서 그 방법을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소형가전제품 기준
먼저 소형가전제품의 기준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통상적으로 손으로 들어서 쉽게 옮길 수 있는 크기(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m 미만)의 가전제품을 소형가전제품이라고 하는데요.
휴대폰과 내비게이션 등의 작은 제품부터 진공청소기, 전기히터 등 비교적 큰 제품까지 규정에서 정하는 소형가전의 범위는 굉장히 넓습니다.

폐가전 무상 방문 수거 서비스에서 정의하는 소형가전제품의 종류는 아래와 같으니 참고해 주세요.
: 가습기, 비디오플레이어, 스캐너, 연수기, 음식물 처리기, 전기밥솥, 전기온수기, 전기히터, 청소기, 에어프라이어, CCTV, 빔프로젝터, 식품건조기, 비디오게임기, 전기주전자, 커피 메이커, 헤어드라이어, 선풍기, 전기다리미, 전기안마기(안마의자 제외), 모니터, 노트북, 내비게이션, 휴대폰, 팩스, 프린터 등
5개 이상 버릴 경우 (소형가전 무료수거)
만약 소형가전제품을 5개 이상 버려야 할 경우에는 폐가전 무상배출 예약 시스템을 이용하시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미리 연락해서 일정을 잡으면 가정 등 원하는 장소로 직접 방문해서 수거해 주기 때문에 굉장히 편리한데요.
소형가전 무료수거 관련 자세한 방법은 이전에 포스팅한 글을 아래에 따로 링크로 걸어 둘 테니 참고해 주세요.
5개보다 적게 버릴 경우 (주민센터 이용)

일반적인 가정집을 기준으로 이사 등 특별한 상황이 아닌 이상 소형가전제품을 5개 이상 한꺼번에 버리는 경우는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이럴 때는 동네마다 있는 주민센터에 가서 당당하게 버리면 되는데요. 아래에서 그 방법을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민센터에 소형가전제품 버리는 방법
주민센터 소형가전제품 수거함 위치

동네마다 있는 주민센터에 가면 소형가전제품 버리는 곳이 따로 마련되어 있습니다. 보통 주차장 구석에 소형가전제품 수거함이 따로 마련되어 있는 경우가 일반적인데요.
하지만 정말 가끔 주민센터 소형가전제품 수거함이 아예 없는 곳도 있으니 미리 해당 주민센터에 전화로 문의를 하고 가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실제로 저는 예전에 이사할 때 에어프라이어와 젖병소독기를 주민센터까지 가지고 갔는데 막상 가보니 수거함이 없어 굉장히 당황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다행히 주민센터 직원에게 문의하니 옆 동네 주민센터에는 수거함이 있다고 해서 거기까지 다시 차를 타고 가서 버릴 수 있었지만 굉장히 당황스러웠어요.
(Update) 일부 주민센터의 경우 수거함이 없는 대신 요일을 따로 정해서 소형가전제품을 정해진 장소에 두고 가라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은 꼭 사전에 주민센터 소형가전 수거함이 있는지 문의를 먼저 해 보고 찾아가시길 추천드립니다.
주민센터 소형가전제품 버리는 방법
버리는 방법은 사실 특별할 게 전혀 없습니다.
그냥 버릴 가전제품을 가지고 가서 주차장 등에 있는 소형가전제품 수거함에 버리면 되는데요.
대부분의 주민센터의 경우 창구에서 별도로 접수할 필요 없이 버리면 되며 근로시간이 아닌 저녁 시간이나 휴일에도 버릴 수 있어 편리합니다.
다만, 누가 봐도 소형이 아닌 가전제품(1미터 이상의 제품)인 경우에는 폐기물 스티커를 따로 구입해 붙여서 버려야 하니 이 점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타) 폐건전지, 폐형광등 버리기
주민센터에 있는 수거함 옆에는 보통 폐건전지와 폐형광등을 버리는 곳이 따로 마련되어 있으니 필요할 경우 여기에 버리시면 됩니다.
특히 폐형광등의 경우 유리로 되어 있다 보니 가정에서 버리기 굉장히 난감한데 주민센터에 별도로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니 많이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과 같이 주민센터 소형가전제품 버리는 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동네마다 있는 주민센터에서 생활 중 발생하는 소형 폐기물들을 무료로 편리하게 버릴 수 있다는 점은 확실히 편리한 부분입니다.
다만 따로 강조 드린 것처럼 너무 큰 가전제품은 폐기물 스티커를 붙여서 따로 버리셔야 하며 모든 주민센터에 수거함이 있는 게 아니므로 미리 확인해 보시는 게 가장 좋다는 점은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UPDATE) 며칠 전 집에서 오래 사용하던 에어 프라이어를 동네 주민센터 수거함에 버리고 왔습니다. 현재 기준으로도 이 방법은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니 이용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들
▶ 폐가전 무료수거로 버리는 법 A to Z (컴퓨터, 노트북 등 가전제품)
▶ 우산 버리는 방법 정리 (ft. 우산수리센터 이용)
▶ 대형폐기물(가스레인지, 책장 등) 버리는 방법 및 스티커 가격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