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기자재 관련주 종목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업황 회복과 환율 등 각종 지수 상승으로 2024년 하반기 주도주 중 하나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조선 기자재 대장주 종목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목차
+ 이 글은 2024년 7월 8일 UPDATE되었습니다.
+ 이 글에서는 각 종목들이 왜 해당 섹터의 실시간 테마주인지를 설명하고 이슈와 관련해 주가가 어떻게 변동 중인지를 함께 살펴봅니다.
+ 주가는 항상 변동하니 참고만 해 주시길 바라며 대장주 역시 상황에 따라 수시로 변동하니 이 점 역시 유념해 주시길 바랍니다.
왜 조선 기자재인가?
현재 조선 산업이 흥하고 있는 가장 큰 원인은 선가(船價, 선박의 가격) 상승입니다.
비록 해운 시황은 여전히 불투명하지만 선사들이 고부가가치 친환경 연료 추진 방식 선박을 지속적으로 발주하고 있어 선가 상승세를 견인하고 있습니다.
(UPDATE) 2024년 7월 기준 해운 시황 역시 해상운임 상승 등의 영향으로 호황으로 진입, 조선 관련 업황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 선박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조선 기자재 역시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일각에서는 조선업이 초호황기에 진입했다는 분석 역시 내놓고 있습니다. (서울경제 7월 12일 기사)
조선 기자재 종류
조선 기자재는 선박의 건조 등에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기계와 자재류를 의미하며 선박 한 척을 짓는 데에 대략 400~700여 종의 제품이 사용됩니다.

신용 보증 기금(신보 리서치 겨울)에서 나온 “국내 조선 기자재 산업의 현황과 전망(저자 강성욱 산업 분석부 차장)”에 따르면 조선기자재는 선체부, 기관부, 의장부, 전기/전자부로 크게 구분되며 이는 다시 화학제품 ~ 도료, 합성수지 등 하위분류로 연결됩니다.
보시다시피 조선 기자재 종류 범위는 굉장히 넓으며 통상 조선 산업 시황과 주가 흐름을 같이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선 기자재 관련주 전망
2024년 7월 기준 국내 조선 기자재 관련주 업계를 둘러싼 분위기는 굉장히 긍정적입니다.
국내 조선 BIG 3의 경우 2024년 무려 13년 만에 흑자 전환이 예상되며 특히 올해 하반기의 경우 작년 수주한 고부가가치 선박들의 실적이 순차적으로 집계될 예정입니다.
조선 기자재 관련주 전망과 관련해서는 주요 조선사의 실적 개선 사이클을 바탕으로 선박 수주 실적에 관심을 기울이되 관련 지수(해상운임지수, 신조선가, 환율 등)에 주의하는 게 좋습니다.
(1) 해상운임지수 : 급등 중
조선과 해운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해상운임지수의 상승은 조선 기자재 관련주 주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2024년 7월 기준 해상운임지수는 급등 중이며 가장 주요 해상운임 중 하나인 SCFI(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의 경우 무려 13주 연속 상승, 2년 만의 4000선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출처 : 2024년 7월 7일 머니투데이 보도)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 | ||
2023년 7월 7일 | 2024년 7월 5일 | 증감률 |
931.73 | 3733.8 | 300.7% |
(2) 신조선가
2023년 6월 신조선가는 187.23을 기록했으며 이는 작년 6월 대비 10% 증가한 수치입니다. (출처 : 2024년 7월 5일 뉴스웨이 보도자료)
선종별로 보면 LNG 운반선 2억 6,400만 달러, 초대형 유조선(VLCC) 1억 3,000만 달러, 초대형 컨테이너선이 2억 6,850만 달러를 각각 기록했습니다.
조선 기자재 관련주 알아보기
위에서 설명드린 조선업 호황의 영향으로 최근 많은 조선 기자재 테마주 종목들의 주가가 상승 중입니다. 여기서는 그중에서도 주가가 가장 많이 오른 3개 종목을 대장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메디콕스 (조선 기자재 대장주)

왠지 제약 회사일 것만 같은 이름을 가진 메디콕스(054180)는 조선 기자재 사업과 전동기(발전기) 사업, 결제대행 사업을 영위 중인 종목입니다.
이 중 조선 기자재 사업의 경우 조선 Block 생산에 경쟁력을 보유 중이며 당사가 제조하는 Block은 주로 초대형 선박의 선수, 선미, 프로펠러 보스 등 9곳에 사용됩니다.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 등 국내 메이저 조선사들의 1차 협력업체이기도 하며 이와 관련해 시장에서 조건 기자재 대장주로 불리고 있습니다.
메디콕스 주가는 올해 6월 25일 3개월 최저가(417원)를 기록하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했으나 6월 말부터 거래량이 급격히 집중되어 급등 중입니다.
다만 메디콕스 주가의 경우 1천 원이 안 되는 동전주이기 때문에 주가 변동폭이 굉장히 크고 성장 중인 매출액에 반해 영업이익이 장기 적자 상태인 점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태광 (조선 기자재 관련주)

코스닥 상장사이자 조선 기자재 대장주 종목 중 하나로 널리 알려진 태광(023160)의 경우 시가총액이 3,461억 원(’24년 7월 8일 기준)으로 해당 테마주 종목들 중에서는 상당히 큰 회사입니다.
관이음쇠류 등 플랜트용 기자재 제조를 주력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이 밖에 이차전지용 생산설비 부품 역시 함께 제조하고 있습니다.
특히 초대형 피팅(Fitting, 휘어진 모양의 배관으로 직선 배관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데 사용) 분야에 높은 기술력을 가지고 있으며 초대형 배관이 많이 들어가는 조선소에 해당 제품을 납품 중입니다.
태광 주가 동향을 보면 6월 21일 반짝 최고가(16,050원)을 기록하긴 했지만 기본적으로 큰 폭의 변동은 보이고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작년에 비하면 절반 수준으로 많이 떨어진 상태입니다.)
2020년까지는 적자를 기록했으나 2021년부터 흑자로 전환해 현재까지 매년 흑자를 기록 중입니다. (다만 2024년의 경우 매출액, 영업이익 성장세가 상당 부분 둔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케이에스피 (조선 기자재 테마주)

코스닥 상장사인 케이에스피(073010)는 엔진부품 사업과 형단조 사업, 그리고 특수용접 등의 기타 사업을 영위 중이며 이 중 엔진부품과 형단조 사업에서 제조한 제품들이 조선 기자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당사가 제조하는 엔진부품은 대형 및 중형 엔진에 들어가는 배기밸브 스핀들과 밸브시트 등이며 특히 대형 엔진용 부품 쪽에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국내외 거래처를 꾸준히 다변화하고 있어 매년 꾸준히 흑자를 내고 있으며 올해 역시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전년 대비 각각 24%, 47%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과거 3개월 케이에스피 주가 흐름을 보면 5월 13일 최고가(5,650원) 기록 후 조정에 들어갔다가 6월 중순부터 조금씩 회복 중인 모습인데요.
7월 8일 케이에스피 주가는 전일 대비 1.96% 상승한 4,160원으로 장을 마쳤습니다. (당일 최고가 4,250원 기록)
기타 조선 기자재 테마주
이 밖에 아래와 같은 종목들이 조선 기자재 수혜주 종목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선박 건조가 워낙 광범위한 산업이다 보니 찾아보면 훨씬 더 많습니다.)
종목 | 조선 기자재 수혜주 분류 이유 |
대양전기공업 | 선박용 조명 관련 전문성 보유 |
STX엔진 | 선박용 디젤, 친환경 엔진 제조 |
SK중공업 | 선박용 엔진 제조 |
비엠티 | LNG 선박에 사용되는 밸브 등 부품 제조 |
아울러 조선 기자재를 포함한 전체 조선업 관련주 종목에 대해서는 아래 글에서 정리해 두었으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함께 알면 좋은 업종별 대장주
▶ GAA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게이트올어라운드 테마주 수혜주
▶ 바이오시밀러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아일리아 테마주 수혜주
▶ 커피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원두 테마주 수혜주
+ 이 글은 관련 정보를 개인 생각과 정리한 것으로 종목 추천글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