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 비교 9월 순위 (OK, 다올, NH저축은행)

요즘 예금, 적금 금리가 올라가면서 예전만큼 인기 있지는 않지만 그래도 수시 입출금 통장(파킹통장)은 확실한 고정 수요가 있는 상품입니다. 오늘은 2023년 9월 기준 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 비교를 해 보고 가장 금리가 높은 3개 상품을 간단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저축은행 파킹통장 수요 집중

2023년 9월 현재 파킹통장은 금리 하나만 놓고 보면 예금과 적금 상품의 금리 상승에 밀리고 있는 분위기이긴 합니다만 파킹통장만이 가진 장점(입출금 자유 + 적정 수준 금리 제공)에 힘입어 나름 고정 수요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다만 인터넷은행과 저축은행을 놓고 비교할 경우 저축은행 파킹통장이 확연한 우위를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가 모두 최근 수신 경쟁을 자제하며 숨 고르기를 하고 있는 분위기인 반면에 저축은행의 경우 나름의 사정(시중은행보다 높은 금리 제공 필요) 등에 좌우되기 때문입니다.

카카오뱅크-파킹통장-금리-인하
카카오뱅크 파킹통장 금리 인하

실제로 대표적 인터넷은행 중 하나인 카카오뱅크의 경우 9월 1일부터 파킹통장(세이프 박스) 금리를 기존 2.10%에서 2.00%로 인하한 반면에(뉴시스 9월 1일 보도기사), 저축은행 파킹통장의 경우 그래도 찾아보면 연 3.5% 이상 금리의 상품이 제법 많습니다.

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 비교 순위 TOP 3

2023년 9월 기준 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 비교 후 순위가 가장 높은 상품 3개를 아래 표와 같이 정리하였습니다.

구분예치금액 규모상품명최고 금리
OK저축은행1백만 원 이하OK읏백만통장2연 5.0%
다올저축은행2천만 원 이하Fi 커넥트 통장연 4.0%
NH저축은행1억 원 이하FIC-ONE 보통예금연 3.8%

OK저축은행 파킹통장 : 연 3.5~5.0%

OK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는 우대금리 적용 기준 연 3.5~5.0%로 비록 1백만 원 이하분에 대해서만 적용하긴 하지만 연 5.0%라는 금리는 현재 금융권 파킹통장 중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1백만 원 이하분연 5.0%
1백만 원 초과 ~ 5백만 원 이하분연 4.0%
5백만 원 초과분연 3.5%

우대금리를 적용받는 방법은 굉장히 간단합니다.

시중은행이나 증권사 앱에서 제공 중인 오픈뱅킹에 OK읏백만통장2를 등록하기만 하면 되며 이렇게 하면 우대금리 0.5% p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가입 금액에 제한이 없어 고액을 예치하더라도 우대금리 적용 기준 연 3.5%의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긴 하나 예금자보호가 5천만 원까지만 되는 점에는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올저축은행 파킹통장 : 연 1.5~4.0%

다올저축은행-저축은행-파킹통장-금리-비교
다올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

다올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는 우대금리 적용 기준 연 15%(2천만 원 초과분), 혹은 연 4.0%(2천만 원 이하)입니다. (2023년 9월 저축은행 파킹통장 순위 2위 기록, 금리 기준)

원래는 최대금리 적용한도가 1천만 원이었으나 1만 좌 달성 감사 이벤트로 2023년 9월 1일부터 2024년 2월 29일까지 6개월 동안 적용한도가 2천만 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우대금리 적용 방법은 위의 OK읏백만통장2와 동일합니다. (시중은행이나 증권사 앱에 다올Fi커넥트통장 등록)

가입 기간과 가입 금액에 대한 제한은 없으며 가입을 원할 경우 영업점에 방문하셔도 되지만 모바일 뱅킹(Fi 디지털 뱅크 APP)을 이용하는 게 훨씬 편리합니다.

NH저축은행 파킹통장 : 연 1.0~3.8%

NH저축은행-파킹통장
NH저축은행 파킹통장

2023년 9월 기준 저축은행 파킹통장 순위 3위를 기록 중인 상품은 NH저축은행 파킹통장인 NH FIC-One 보통예금입니다.

NH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는 우대금리 적용 기준 연 1.0~3.8%입니다.

1억 원 이하연 3.8%
1억 원 초과연 1.0%

이 상품의 장점은 1억 원 이하 예치금에 대해 우대금리 기준 연 3.8%의 금리를 제공한다는 것으로 최대 금리 적용한도(1억 원)가 오늘 소개 드리는 상품 중 가장 높습니다. (다만 예금자보호법에 근거해 5천만 원까지만 보호받는 점은 알고 계셔야 합니다.)

단점은 우대금리 적용 방법이 위의 2가지 상품보다 좀 귀찮습니다. (별로 어렵지는 않은데 다소 귀찮습니다.)

우대 조건우대 금리비고
마케팅 동의연 0.2%한 번만 동의하면 됨. Good
자동이체 출금실적 월 1건 이상연 0.3%한 건만 등록하면 됨. So So
간편결제(Pay) 거래 월 1건 이상연 0.3%좀 귀찮음

상세한 우대금리 적용 방법은 위의 표를 참고해 주시면 되며 간편결제 적용 대상은 토스,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PAYCO 4개에 한정되니 이 부분은 유의해 주시길 바라겠습니다.

총평 및 개인적인 생각

뉴스를 보면 최근에 “이제 파킹통장의 시대는 끝났다”라는 식의 보도가 많이 나오는데 개인적으로는 100% 동의하지 않습니다.

해당 기사들을 자세히 보면 대부분 인터넷은행(카카오뱅크 파킹통장 등) 금리 인하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고 실제로 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의 경우 그렇게 많이 내려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저축은행 영업 환경의 특수성 때문이기도 하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본인 자금만 확실히 보호된다면 저축은행을 이용하지 않을 이유 또한 없기에 선택의 폭을 넓게 가져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늘 소개 드린 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 비교 내용을 보면 예치금 규모에 따라 유연한 운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예치금액 규모추천상품최대 금리
100만 원 이하OK읏백만통장2연 5.0%
2천만 원 이하Fi 커넥트 통장연 4.0%
2천만 원 이상~1억 원 이하FIC-ONE 보통예금연 3.8%

위와 같이 예치금액 규모에 따라 가장 유리한 저축은행 파킹통장 순위를 표로 정리해 보았으니 참고해 주시기 바라며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는 금액 기준은 5천만 원이라는 점에도 유의해 두는 게 좋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들

KB국민 청춘대로 톡톡카드 혜택 1분 정리 (연회비, 요구 실적)

우리은행 N일 적금 출시 (ft. 유미의 세포들, 6% 금리)

토스뱅크 적금 5% 금리 상품 출시 (금리 높은 적금)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