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전력 반도체 관련주 포스팅입니다. 저전력 반도체는 더 작은 크기를 요구하는 온디바이스 AI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이와 관련해 LPDDR, SIC 등 다양한 테마가 출현 중입니다. 이 글에서는 저전력 반도체 대장주 종목을 정리하겠습니다.
글의 순서
+ 이 글은 2024년 8월 4일 UPDATE되었습니다.
+ 이 글에서는 각 종목들이 왜 해당 테마주인지를 설명하고 이슈와 관련해 주가가 어떻게 변동 중인지를 설명합니다.
+ 주가는 항상 변동하니 참고만 해 주시길 바라며 대장주 역시 상황에 따라 수시로 변동하니 이 점 역시 유념해 주시길 바랍니다.
저전력 반도체 필요성 및 테마주 출현
온디바이스 AI 및 LPDDR의 등장
최근 들어 심심찮게 이슈가 되고 있는 온디바이스 AI는 휴대(혹은 착용) 가능한 소형 디바이스 안에 자체 AI를 장착하는 식인데요. (클라우드 없이 기기 자체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기 때문에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작동)
온디바이스 AI의 원활한 구동을 위해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저전력 소비, 그리고 높은 데이터 처리 속도입니다. (디바이스 자체에서 AI 알고리즘을 실행시켜야 하기 때문)
특히 이 중 저전력 소비를 위해 SK하이닉스는 LPDDR(Low Power Double Data Rate, 저전력 DDR)을 개발, 시장을 주목을 끈 바 있습니다.
SiC(실리콘 카바이드 반도체) 역시 주목 필요
한편 전기차 시장이 커지면서 함께 주목받은 SIC(Silicon Carbide, 실리콘 카바이드) 반도체 역시 기존 실리콘 소재 대비 낮은 전력 소비와 빠른 속도로 많은 기대를 받은 바 있습니다. (시기적으로 SiC가 LPDDR보다 먼저 나왔습니다.)
저전력 반도체 테마주 주목 필요
현재 주식 시장에서 저전력 반도체 테마주를 볼 때는 위에서 설명드린 LPDDR 관련주와 SiC 관련주를 혼용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엄밀히 말하면 각 테마별로 연관된 산업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어떤 재료가 이슈가 되느냐에 따라 다른 투자 전략 수립이 필요합니다.
- LPDDR 관련주 : 온디바이스 AI 이슈 관련 주가 반응
- SiC 관련주 : 전기차 배터리 이슈에 민감 (테슬라 관련주와 유사)
저전력 반도체 관련주 정리
LPDDR 관련주 중심
텔레칩스(054450)

(1) 사업 내용 : 당사는 팹리스 기업으로 스마트 기기용 AP(Application Processor), DMP(Digital Media & Processor) 등을 제조하고 있습니다.
(2) 저전력 반도체 관련주 분류 이유
당사가 제조 중인 AP, DMP는 모두 저전력 기술이 적용된 제품이며 이와 관련, 당사 역시 해당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당사는 차량용 반도체 중 인포테인먼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2024년 7월 현대차에 공급될 차량용 반도체인 모토 콘트롤러를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습니다.
(3) 텔레칩스 주가 흐름
2024년 5월 7일 26,650원까지 기록했던 텔레칩스 주가는 지속적인 조정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8월 2일 기준 전일 대비 7.63% 하락한 15,970원으로 장을 마쳤습니다.
에이팩트(200470)

(1) 사업 내용 : 코스닥 상장사인 에이팩트는 반도체 후공정 관련주 테마를 가진 기업으로 반도체 패키징(조립) 및 테스트 분야에 기술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저전력 반도체 대장주 분류 이유
당사는 LPDDR2 제품 개발과 양산 적용을 완료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와 관련, 시장에서 LPDDR 관련주, 저전력 반도체 대장주 중 하나로 분류됩니다.
(3) 매출 흐름 : 2022년부터 매출액, 영업이익 모두 회복세에 진입했으나 2023년은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4) 에이팩트 주가 흐름
에이팩트 주가는 2024년 6월 4일 7,250원 기록 이후 조정에 들어가 7월 중순까지 6,000원 선에서 횡보 중이었습니다.
이후 7월 중순 이후 다시 조정에 들어간 에이팩트 주가는 8월 2일 전일 대비 9.84% 하락한 4,490원으로 장을 마쳤습니다.
제주반도체(080220)

(1) 사업 내용 : 코스닥 상장사인 제주반도체는 모바일용 메모리 쪽에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반도체 팹리스(설계) 기업입니다.
(2) 저전력 반도체 관련주 분류 이유
당사는 LPDDR 설계 방면에서 국내 대표 지위를 차지하는 팹리스 기업으로 이와 관련해 시장에서 LPDDR 대장주, 저전력 반도체 대장주에 속해 있습니다.
(3) 매출 흐름 : 2022년과 2023년 모두 매출액이 떨어지긴 했지만 영업이익에서는 꾸준히 흑자를 내고 있으며 부채 비율도 낮아(22.64%) 재정 건전성 역시 우수한 편입니다.
(4) 제주반도체 주가 흐름
제주반도체 주가는 올해 1월까지 엄청난 기세로 상승한 이후 현재는 조정 단계에 있습니다.
5월 3일 25,000까지 기록했던 제주반도체 주가는 지속적인 조정 흐름을 보여주고 있으며 8월 2일 전일 대비 7.71% 하락한 14,480원으로 장을 마쳤습니다.
SiC 관련주 중심
KEC(092220)

(1) 사업 내용 : 코스피 상장사인 KEC는 전력제어 및 전류 증폭을 목적으로 하는 반도체 제품(TR, IC 등)을 제조하는 기업입니다.
(2) 저전력 반도체 대장주 분류 이유
당사는 저전력 반도체 중 SiC(실리콘 카바이드) 분야에서 알려진 기업으로 테슬라 등 유명 전기차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차량용 반도체 부품을 납품 중이라 시장에서 저전력 반도체 관련주로 분류됩니다.
(3) 매출 흐름 : 2023년 내내 영업이익이 적자를 기록 중인 점은 우려스럽습니다. 다만 부채 비율이 27.29%로 적고 200%가 넘는 당좌비율을 확보 중이라 재정 건전성은 아직 양호한 상태입니다.
(4) KEC 주가 흐름
KEC 주가 역시 다른 저전력 반도체 대장주 종목들과 비슷하게 장기 조정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24년 5월부터 지속적으로 하락 중인 KEC 주가는 8월 2일 전일 대비 5.18% 하락한 1,116원으로 장을 마쳤습니다.
LX세미콘(108320)

(1) 사업 내용 : 코스피 상장사인 LX세미콘은 가전제품, 전기차,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반도체를 설계하는 팹리스 기업입니다.
(2) 저전력 반도체 관련주 분류 이유
당사는 전기차 인버터 모듈 등에 사용되는 SiC 쪽에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해 저전력 반도체 테마주로 불립니다.
(3) 매출 흐름 : 2023년 매출액, 영업이익 모두 전년 대비 하락했으며 2024년의 경우 매출액이 추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모두 2023년 대비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4) LX세미콘 주가 흐름
2024년 6월 중순에 LX세미콘 주가는 큰 폭으로 상승, 7월 1일에는 3개월 최고가인 84,500원을 기록했습니다.
다만 7월 중순 이후 LX세미콘 주가는 큰 폭의 조정에 들어가 있는 상태이며 8월 2일 전일 대비 6.97% 하락한 70,700원으로 장을 마쳤습니다.
함께 알면 좋은 업종별 대장주
▶ 건기식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건강기능식품 테마주 수혜주
▶ 부동산 리츠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금리 인하 테마주로 등극
▶ 다목적 댐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토목 테마주 수혜주
+ 이 글은 관련 정보를 개인 생각과 정리한 것으로 종목 추천글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