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교통카드 신청, 마일리지 정보 정리 (ft. 플러스로 혜택 확대)

대중교통비 절약이 가능한 알뜰교통카드 혜택이 확대된다는 소식입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라는 이름으로 올해 7월부터 새로 나오는 형태이며 참여 카드사 역시 기존 6개에서 11개로 확대됩니다. 알뜰교통카드 신청 방법 등에 대해 모르는 분들도 계실 테니 관련 정보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 이 글은 2023년 8월 19일 UPDATE 되었습니다.)

알뜰교통카드 신청, 발급 방법

알뜰교통카드는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공동으로 부담하여 대중교통 이용 비용을 지원해 주는 카드입니다.

집에서 나가서 지하철을 타고 학교나 직장으로 간다고 가정해 볼게요. 여기서 도보나 자전거를 이용하는 구간이 발생하잖아요?(집~지하철역, 지하철역~학교/직장 등)

이 거리를 앱으로 측정해서 거리별로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를 적립한 후 이후에 현금으로 돌려주는 게 알뜰교통카드입니다.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역시 매월 적립 한도가 있는데요.

일반 국민은 최대 19,800원, 청년(만 19세~34세)은 최대 28,600원, 저소득층(만 19세 이상의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은 최대 39,600원입니다.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하면 대중교통비를 기본적으로 10% 할인해 주며 이후 마일리지에 따라 최대 20% 추가로 할인해 주기 때문에 실제로는 합쳐서 최대 30%까지 대중교통비 할인이 가능합니다. 

알뜰교통카드 신청은 기본적으로 소득 등으로 자격에 제한을 두고 있지 않지만 주민등록상 이 제도를 시행 중인 지자체에 거주 중인 사람 중 만 19세 이상만 알뜰교통카드 신청이 가능합니다. 

※ 2023년 1월 기준 알뜰교통카드 앱 회원가입 가능 지역 : 서울, 인천, 경기,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세종, 울산, 제주, 충북(청주, 옥천, 제천, 충주), 충남, 전북(전주, 완주, 익산, 남원, 군산, 정읍), 전남(무안, 순천, 신안, 목포, 여수, 해남, 광양, 나주, 담양), 경북(포항, 경주, 영주, 김천, 영천, 구미, 상주, 칠곡/경산, 안동), 경남, 강원(춘천, 강릉, 원주)

마일리지-측정-방식-알뜰교통카드-신청
마일리지 측정 방식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는 800m를 기준으로 교통요금 지급액이 2천 원 미만일 경우 최대 250원, 2천 원에서 3천 원 사이가 나왔을 경우 최대 350원 적립됩니다. (매월 최대 44회까지 적립되며 도보/자전거 이동거리가 800m 미만인 경우에는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지급)

마일리지 측정 방식은 위의 이미지를 참고해 주세요.

저소득층-청년층-마일리지-상향-지원

아울러 위와 같이 저소득층에게는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가 상향 지원되니 이 부분도 참고해 주세요.

알뜰교통카드-후불-신용카드

선불카드(티머니페이, 모바일캐시비, 원패스)와 후불카드(신한카드, 우리 카드, 하나카드)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선불카드는 각 플랫폼 앱에서 선불형 교통카드를 발급받은 후 알뜰교통카드 앱에 등록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후불카드의 경우 위와 같이 각 신용카드사에서 발행 중인 전용 카드를 직접 발급 받아야 합니다. 

이 밖에 알뜰교통카드 신청방법과 마일리지 등 사용과 관련한 상세한 내용은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세요.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7월 출시

알뜰교통카드-혜택-확대-보도

2월 22일 국토교통부가 참여 카드사, 한국교통안전공단, 여신금융협회와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협약식을 맺으며 관련 소식을 공개했는데요.

(추가) 7월 1일부터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서비스가 정식으로 시작되었으며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관련 기본 골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참여 카드사 확대

기존 6개사(신한, 하나, 우리, 티머니, 로카, DGB)에서 13개사(삼성, 현대, 국민, 농협, BC, 광주, 케이뱅크가 추가)로 확대

월 마일리지 적립 횟수 증가

기존 월 최대 44회에서 60회로 증가했습니다. 적립횟수가 증가하면서 자연스럽게 월 최대 적립금 역시 15,000원~66,000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저소득층 마일리지 지원 확대

교통비 2천 원 미만(500원에서 700원으로 확대), 교통비 2천 원~3천 원 미만(700원에서 900원으로 확대), 교통비 3천 원 이상(900원에서 1,100원으로 확대)

이 밖에 사용편의성 증가(즐겨찾기 구간 도입 등), 최초 가입 시 주소지 검증 절차 자동화 등 여러 가지 부분이 개선될 것으로 보입니다.

알뜰교통카드는 현재 이미 전국에서 약 53만 명이 이용 중이며 이번 7월에 알뜰교통카드 플러스가 출시되면서 관련 혜택도 더욱 늘어나 아직 가입하지 않으신 분들 중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시는 분이라면 가입을 추천 드립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들

토스뱅크 체크카드 혜택 정리 (시즌4, 해외여행 추천)

문화누리카드 잔액조회 방법, 사용처(온라인), 발급 방법 쉽게 정리

OK 캐쉬백 현금전환 순식간에 하는 방법 (ft. 적립 방법, 카드번호 찾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