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반도체 장비 관련주 대장주 TOP 3 (한미반도체, 원익IPS, HPSP 주가)

삼성 반도체 장비 관련주 정리 글입니다. 2024년 상반기 반도체는 길었던 불황을 극복하고 마침내 ‘반도체의 봄’을 맞아 많은 관심을 받았는데요. 오늘은 특히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삼성 반도체 장비 대장주 종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 이 글은 2024년 7월 15일 UPDATE되었습니다.

+ 이 글에서는 각 종목들이 왜 해당 섹터의 실시간 테마주인지를 설명하고 어떤 이슈(키워드)와 관련해 주가가 변동 중인지를 함께 살펴봅니다.

+ 주가는 항상 변동하니 참고만 해 주시길 바라며 대장주 역시 상황에 따라 수시로 변동하니 이 점 역시 유념해 주시길 바랍니다.

삼성전자 메모리 업황 회복

삼성-반도체-장비-관련주-보도

2024년 2분기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부 매출이 드디어 대만 TSMC를 넘어설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출처 : 2024년 7월 14일 연합뉴스)

이는 2022년 3분기 세계 반도체 매출 1위 자리를 TSMC에 넘겨준 이후 무려 8분기 만의 일인데요.

구분TSMC삼성전자 DS 부문
2024년 2분기 매출 (추정)28.5조 원
(32% 증가)
27~28조 원대로 추정
(약 2배 증가)
사업내용파운드리메모리, 비메모리, 파운드리

비록 두 회사의 사업 내용이 달라 단순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인공지능 성장에 힘입은 반도체 호황 사이클 진입이 양 사 모두에게 호재가 된 것은 틀림없어 보입니다.

엔비디아 신형 AI 칩 출시

엔비디아-블랙웰
엔비디아 블랙웰

2024년 7월 출시 예정인 엔비디아의 신형 AI 칩 ‘블랙웰’ 역시 반도체 제조사에게는 커다란 호재인데요.

일각에서는 이번에 출시되는 블랙웰은 반도체 산업에 있어서 단순한 호재 수준이 아닌 슈퍼사이클 진입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습니다. (출처 : 2024년 7월 15일 BLOTER 보도)

블랙웰은 엔비디아가 이번에 칼을 갈고 출시한 차세대 GPU로 AI 연산 성능을 크게 향상시켜 추후 AI 칩 시장에서 게임 체인저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블랙웰 GPU에 사용되는 메모리 칩을 어느 정도 점유할 수 있느냐’에 대해서는 아직 조심스러운 전망이 많지만 메모리 칩 시장 자체에는 긍정적인 신호를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래에서 삼성 반도체 장비 대장주 종목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 반도체 장비 관련주 알아보기

한미반도체 (삼성 반도체 장비 대장주)

한미반도체-주가-흐름
한미반도체 주가 흐름 (실시간 테마주)

코스피 상장사인 한미반도체(042700)는 주가 그래프를 보면 비록 최근에는 조정이 좀 들어가긴 했지만 한동안 “왜 내가 저걸 안 샀지” 후회가 들어 배가 많이 아팠던 종목입니다.

1980년부터 이어진 오랜 업력을 바탕으로 업계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기업이며 주력 제품 Vision Placement의 경우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 자리를 놓치지 않고 있습니다.

반도체 제조용 장비를 생산하며 내수보다 수출 매출이 더 많습니다. 글로벌 고객 ASE, SPIL, JCET 등을 대상으로 납품 중이며 내수 고객사 중에는 삼성전자, 삼성전기 등이 포함되어 있어 삼성 반도체 장비 대장주 종목으로 분류됩니다.

인공지능용 고성능 메모리 장비 역시 생산 중이며 한미반도체 주가의 경우 엔비디아 주가 동향에 함께 반응하는 편이라 엔비디아 AI 관련주로도 분류됩니다.

한미반도체 주가 흐름을 보면 6월 14일 최고가(196,200원) 기록 후 7월 중순까지 조정에 들어가 있는 상태입니다.

HPSP (삼성 반도체 장비 관련주)

HPSP-주가-흐름
HPSP 주가 흐름 (실시간 테마주)

코스닥 상장사인 HPSP(403870)는 고압 수소 어닐링 장비를 반도체 제조사들에게 독점적으로 공급하는 기업입니다.

특히 당사가 제조하는 고압 수소 어닐링의 경우 타 사 제품들과 달리 저온 방식을 사용해 고온 방식의 단점(웨이퍼 손상 가능성)을 해소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요.

특히 반도체 제조 공정이 미세화되면서 금속 배선 공정이 늘어나다 보니 HPSP의 저온 공정이 더욱 환영받고 있습니다. (수요가 확실하다는 뜻😀)

이렇게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보니 증권가(한국투자증권 채민숙 연구원)에서도 향후 3~5년 동안 높은 영업이익률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 중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HPSP 역시 시장에서 대표적인 삼성 반도체 장비 관련주 종목으로 불리고 있으며 2024년 7월 15일 HPSP 주가는 전일 대비 2.48% 하락한 41,300원으로 장을 마쳤습니다. (당일 최고가 42,900원 기록)

원익IPS (삼성 반도체 장비 테마주)

원익IPS-주가-흐름
원익IPS 주가 흐름 (실시간 테마주)

코스닥 상장사인 원익IPS(240810)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Solar Cell 제조용 장비를 생산하는 기업으로 특히 삼성전자의 핵심 장비 공급 업체라는 점 때문에 시장에서 삼성 반도체 장비 테마주 종목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주요 생산 제품은 PE-CVD, ALD, Diffusion Thermal System 등이며 시장에서는 GEMINI 등의 브랜드로 제품을 유통 중입니다.

당사는 반도체 수요 감소 현상으로 작년까지 힘든 시간을 보냈는데요. (2023년 원익IPS 매출액 최저 수준 기록 & 영업이익 적자 기록)

다만 2024년에 접어들면서 매출액이 증가했고 영업이익 역시 흑자로 전환됨에 따라 드디어 숨통이 트이는 것 아니냐는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2024년 7월 15일 원익IPS 주가는 전일 대비 3.05% 상승한 37,200원으로 종료했습니다. (7월 4일에는 3개월 최고가인 40,300원 기록)

총평 및 개인적인 생각

(아랫부분은 2023년 반도체 업황이 돌아오기 전에 작성했던 글입니다.)

개인적으로 반도체 반등론과 관련해 가장 중요한 건 결국 현재의 공급 과잉 현상 개선 여부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업계(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서는 반도체 공급 초과율이 낸드플래시 반도체와 D램 모두 3분기에 마이너스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공급 과잉 현상이 해소된다는 뜻)

구분2023년 1분기 공급 초과율2023년 3분기 공급 초과율(예상)
낸드플래시 반도체19.80%-6.80%
D램12.90%-7.60%

이처럼 수요와 공급이 역전되면 결국 반도체 가격 역시 인상되게 되며 이는 메모리 감산 효과와 고성능 제품 수요 확대 등으로 업황 개선이 예상되는 반도체 반등론에 힘을 실어주게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반도체 반등론에 기대감을 가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해 오늘 소개한 삼성 반도체 장비 관련주들 또한 힘을 받지 않을까 예상합니다.

(UPDATE)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2022년 하반기부터 시작되었던 반도체 불황 시즌은 지나갔고 드디어 호황 시즌에 진입했습니다.

다만 반도체 산업을 둘러싼 환경이 점점 복잡해지고 있는 점은 투자자로서 반드시 경계해야 하는 부분인데요.

미국과 중국 등 주요 국가들이 반도체를 전략 자산 취급하고 있고 신제품 사이클이 빨라지고 있으며 선두 자리를 유지, 혹은 탈환하기 위한 투자금액은 기하급수적으로 커져가고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반도체에 환호할 때 이면에 감춰진 리스크 역시 함께 들여다보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들

편의점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GS25 CU 이마트24 테마주

AI CCTV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CCTV 테마주 수혜주

GDDR7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메모리 테마주, GDDR 뜻

+ 이 글은 관련 정보를 개인 생각과 정리한 것으로 종목 추천글이 아닙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