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툴리눔 톡신 관련주 정리 글입니다. 업계에서 톡신 보툴리눔은 의료적으로도 사용되지만 주로 미용 목적 사용(보톡스 시술)으로 더 유명합니다. 이 글에서는 가장 알려진 보톡스 관련주 종목에 대해 쉽게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글의 순서
+ 이 글에서는 각 종목들이 왜 해당 섹터의 실시간 테마주인지를 설명하고 어떤 이슈(키워드)와 관련해 주가가 변동 중인지를 함께 살펴봅니다.
+ 주가는 항상 변동하니 참고만 해 주시길 바라며 대장주 역시 상황에 따라 수시로 변동하니 이 점 역시 유념해 주시길 바랍니다.
보툴리눔 톡신이란 무엇일까요?
보툴리눔 톡신 뜻

보툴리눔 톡신(Botulinum toxin)은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이라는 박테리아가 만들어낸 신경 독소이며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독소 중 하나입니다.
업계에서는 보톡스로 알려져 있으며 미용 업계에서 톡신 시술을 한다고 하면 보통 보툴리눔 톡신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툴리눔은 톡신(독소)을 만들어내는 세균의 이름이며 만약 보툴리눔이라는 세균이 없으면 보툴리눔 톡신, 즉 보톡스 역시 존재하지 않는 셈입니다.
주로 의료, 미용 목적으로 사용

보툴리눔 톡신은 근육의 수축을 막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주로 의료 및 미용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의료적 사용 : 근육 관련 질환, 신경 질환, 다한증, 식도 질환 등에 사용
- 미용적 사용 : 주름 개선 및 얼굴 특정 부위의 볼륨 조정을 위해 주로 사용 (우리가 흔히 아는 보톡스 시술이 여기에 해당)
글로벌 보톡스 시장 규모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프레스던스 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보툴리눔 톡신 시장 규모는 2034년까지 연평균 9.57%의 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미용 목적의 보톡스와 의료 목적의 보툴리눔 톡신 시장이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연도 | 글로벌 시장 규모 |
2024년 | 86억 5천만 달러 |
2025년 (예상) | 94억 8천만 달러 |
2034년 (예상) | 215억 7천만 달러 |
세계에서 가장 큰 보톡스 시장은 북미 지역이며(2022년 기준 약 47억 7천만 달러) 다음으로 유럽과 중국 순서로 시장이 큽니다.
미국의 경우 비침습적 미용 시설(주름 개선, 피부 리프팅 등)의 수요가 매우 높으며 글로벌 보툴리눔 톡신 시장 선도 기업인 엘러간 역시 미국 기업입니다.
보툴리눔 톡신 관련주 알아보기
휴젤 (보툴리눔 톡신 대장주)

코스닥 상장주 휴젤(145020)은 보툴리눔 톡신(보톡스)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국내 대표 보툴리눔 톡신 대장주 종목입니다.

당사는 보톡스 제품인 보툴렉스(Botulax)를 주력으로 제조하고 있으며 이 제품은 주름 개선 등 미용뿐만 아니라 의료 목적으로도 함께 사용되고 있습니다.
2022년 경쟁사인 메디톡스가 휴젤이 자사 균주 및 제조공정을 도용했다고 주장하며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에 제소했으나 2024년 10월 ITC가 휴젤의 위반 사실이 없다는 판결을 내리며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당사는 2024년 2월 미국 식품의약국으로부터 보툴렉스의 50유닛 및 100유닛 제품에 대한 품목 허가를 받은 상태이며 현재 세계 최대 보톡스 시장인 미국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보톡스 대장주 종목으로 분류)
파마리서치바이오 (보툴리눔 톡신 관련주)

코스닥 상장주 파마리서치바이오(217950)는 파마리서치의 자회사로 보툴리눔 톡신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개발 및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미각 주름 개선에 사용되는 보툴리눔 톡신 제제인 ‘리엔톡주 100단위’에 대한 국내 품목허가를 취득하면서 보툴리눔 톡신 관련주 종목으로 분류되고 있는데요.
특히 당사는 보툴리눔 톡신 단백질의 고순도 정제 기술에 대한 국내 특허 역시 2건을 취득하는 한편 2024년 10월에는 보툴리눔 독소 제재 생체 내 지속성 향상 관련 기술 특허 역시 취득해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대웅제약 (보툴리눔 톡신 테마주)

코스피 상장주 대웅제약(069620) 역시 보톡스 관련주 종목인데요.
당사는 보툴리눔 톡신 제제인 ‘나보타(Nabota)’를 국내 및 해외 시장에서 판매하고 있으며 나보타는 미간 주름 개선 등의 치료 목적 이외에 의료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대웅제약은 2019년 미국 식품의약국의 시판 허가를 받아 미국에서 나보타를 주보(Jeuveau)라는 이름으로 판매 중이며 2023년 미국 시장 점유율 10%를 넘기는 등 순조롭게 성장해 보툴리눔 톡신 테마주 종목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유럽, 캐나다, 브라질 등에서도 판매 중이며 최근 아르헨티나에서 국산 보톡스 제품 중 최초로 품목 허가를 취득함)
실제로 대웅제약 보톡스 제품 매출 중 해외 매출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2024년 3분기 나보타 누적 매출 1,133억 원 중 해외 매출이 83%(935억 원)을 점유하고 있습니다.
기타 보톡스 관련주
이 밖에 아래 표와 같은 기업들이 시장에서 보톡스 관련주 종목으로 분류되고 있으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종목 | 보톡스 관련 주식 분류 이유 |
메디톡스 | 국내 최초 보툴리눔 톡신 제제 개발 |
제테마 | 보툴리눔 톡신 제제, 필러 제품 개발 |
한국비앤씨 | 보툴리눔 톡신 제제 개발 |
휴온스글로벌 | 자회사(휴온스바이오파마)가 보툴리눔 톡신 제품 판매 |
다만 원래 보톡스 대장주 종목으로 가장 유명했던 메디톡스(주요 제품 : 메디톡신)의 경우 2025년 1월 14일 메디톡신 불법 제조 유통 혐의로 대표이사가 징역형을 구형 받은 사실이 있으니 투자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메디톡스는 국내 최초로 보툴리눔 톡신 제제를 개발한 사실 때문에 오랫동안 시장에서 보톡스 대장주 종목으로 불려오고 있었습니다.)
함께 알면 좋은 업종별 대장주
▶ 바이오연료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SAF 테마주 관련 주식
▶ 마이크로바이옴 대장주 관련주 1분 정리 / 미생물 주식 테마주
▶ HMPV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감염병 관련 주식 테마주 알아보기
+ 이 글은 관련 정보를 개인 생각과 정리한 것으로 종목 추천글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