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화장품 관련주 정리 글입니다. 화장품 섹터는 미국 증시에서 브랜드 파워와 소비 트렌드를 반영하는 ‘소비재 산업군’에 속하며 경기 방어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장 알려진 미국 화장품 대장주 종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글의 순서
미국 화장품 관련주 알아보기
에스티 로더 (티커 : EL)

미국 화장품 대장주 분류 이유
뉴욕 거래소에 상장된 에스티 로더(The Estée Lauder)는 전 세계 150개국 이상에서 스킨케어, 메이크업, 향수, 헤어케어 제품을 제조 판매하는 프레스티지 뷰티 기업으로 대표적인 미국 화장품 대장주 종목 중 하나입니다.
에스티 로더가 보유 중인 주요 브랜드는 아래와 같으며 주로 고급 백화점, 면세점, 전문 매장, 온라인 채널 등을 통해 유통되고 있습니다.
- Estée Lauder
- La Mer
- Clinique
- M·A·C
- Jo Malone London
- Tom Ford Beauty
- Bobbi Brown
- Dr.Jart+
- The Ordinary 등
당사의 제품군은 스킨케어(매출의 약 51%), 메이크업(28%), 향수(16%), 헤어케어(4%)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알아두면 좋은 내용
1. CEO 교체 및 구조조정
2025년 1월 Stéphane de La Faverie가 신임 CEO로 취임했으며 취임 후 그는 대규모 구조조정을 단행했습니다.
그는 ‘Beauty Reimagined’ 전략을 통해 브랜드를 메이크업, 스킨케어, 향수, 헤어케어 등 4개 클러스터로 재편하고 약 6,000명의 인력을 감축하였습니다.
2. 중국 및 아시아 시장 회복 전략
소비재 기업인 당사에게 중국 시장의 의미는 상당히 크지만 중국 시장의 회복이 예상보다 지연되면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중국으로의 수출 비중을 25%에서 10%로 줄이고, 유럽 내 공급망을 강화하는 등 지역별 소싱 전략을 조정하고 있습니다.
3. 신제품 출시 및 브랜드 강화
2025년 3분기에 당사는 향수 브랜드의 글로벌 단독 매장을 10개 이상 신규 오픈하는 등 향수 부문 강화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4. 유명 투자자 효과
‘빅 쇼트’로 유명한 투자자 마이클 버리가 에스티 로더 주식을 20만 주로 두 배 확대 투자했으며 이와 관련해 시장에서는 에스티 로더 주가 회복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울타 뷰티 (티커 : ULTA)

나스닥 화장품 관련주 분류 이유
나스닥에 상장된 울타 뷰티(Ulta Beauty)는 미국 최대의 뷰티 전문 리테일 체인으로 특히 스킨케어, 메이크업, 향수, 헤어케어 등 다양한 제품을 한곳에서 제공하는 ‘All Things Beauty. All in One Place’ 전략으로 유명합니다.
이는 국내의 올리브영 등과 비슷한 방식이며 이와 관련, 울타 뷰티는 증시에서 나스닥 화장품 관련주 종목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2025년 기준 울타는 약 1,385개의 매장을 운영 중이며 이 중 일부는 타깃(Target) 매장 내에 입점해 있습니다.
울타 뷰티 사업 내용
1. 제품 및 서비스
고급 브랜드부터 드럭스토어 브랜드까지 다양한 화장품, 스킨케어, 향수, 헤어케어 제품을 취급하며 매장 내 살롱 서비스를 함께 제공 중입니다.
2. 유통 채널 운영
오프라인 매장과 함께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옴니 채널 전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옴니 채널 전략(Omnichannel Strategy) : 온라인에서 주문한 제품을 오프라인 매장에서 픽업하는 등 오프라인 매장과 디지털 채널을 연결해 일관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는 전략
3. 로열티 프로그램
당사는 ‘Ultamate Rewards’라는 로열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2028년까지 회원 수를 5,000만 명으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알아두면 좋은 내용
1. 경영진 교체
2025년 1월 당사의 신임 CEO로 케시아 스틸먼(Kecia Steelman)이 취임하면서 ‘Ulta Beauty Unleashed’라는 새로운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이 전략은 핵심 성장, 웰니스, 전자상거래, 국제 확장, 미디어 제공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2. 매출 성장 둔화 & 시장 점유율 감소
2024년 올타의 매출은 전년 대비 0.8% 증가한 113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2025년에는 소폭 증가한 115억~116억 달러의 매출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다만 시장 경쟁 심화로 인해 점유율이 감소하고 있으며 일부 매장의 실적 부진으로 인해 매장 폐쇄 역시 고려되고 있는 점은 우려스럽습니다.
3. 디지털 전환 및 개인 서비스 강화
당사는 디지털 및 전자상거래 인프라를 대규모로 업그레이드하여 몰입형 커머스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개인 서비스 전략을 강화하여 고객 경험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4. 신제품 및 브랜드 파트너십
2025년 4월 울타는 비욘세의 헤어케어 브랜드 ‘Cécred’를 독점 출시하였으며 이는 울타 역사상 가장 큰 독점 헤어 브랜드 출시로 기록되었습니다.
코티 (티커 : COTY)

미국 화장품 관련주 분류 이유
뉴욕 거래소에 상장된 코티(Coty Inc.)는 향수, 색조 화장품, 스킨·바디케어 등 다양한 뷰티 브랜드를 보유한 미국의 글로벌 화장품 기업으로 에스티 로더 등과 더불어 대표적인 미국 화장품 관련주 종목에 속합니다.
코티가 보유 중인 브랜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고급 & 대중 브랜드 모두 존재)
- CoverGirl
- Max Factor
- Rimmel, Sally Hansen
- Kylie Cosmetics, Marc Jacobs Beauty
- Hugo Boss, Gucci, Chloé 등 약 40개의 브랜드
당사는 최근 몇 년간 구조조정과 포트폴리오 재편을 통해 수익성 중심의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2024 회계연도 기준으로 전체 매출 중 약 61%가 향수, 26%가 색조 화장품, 12%가 스킨·바디케어에서 각각 발생했습니다.
알아두면 좋은 내용
1. 비용 절감을 위한 사업 구조 재편
당사는 2025년 4월 ‘All-in to Win’ 프로그램의 다음 단계를 발표했으며 여기에는 고정비 1억 3천만 달러 절감, 향후 2년간 2억 4천만 달러 생산성 향상 목표 설정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소셜 커머스 및 디지털 전략 강화
코티는 CoverGirl 브랜드를 중심으로 Tik Tok Shop과 같은 소셜 커머스 플랫폼 내 홍보를 강화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플루언서 마케팅과 디지털 콘텐츠 제작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3. 신규 파트너십 체결
2025년 당사는 스와로브스키(Swarovski)와의 협업을 통해 향수 라인을 재출시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코티의 향수 포트폴리오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엘프 뷰티 (티커 : ELF)

미국 화장품 테마주 분류 이유
뉴욕 거래소에 상장된 엘프 뷰티(e.l.f. Beauty)는 “눈(Eye), 입술(Lip), 얼굴(Face)”의 약자로 고품질의 비건 및 크루얼티 프리 화장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하는 미국의 뷰티 브랜드입니다.
(elf를 합치면 엘프가 되기 때문에 기억하기도 쉽습니다.)
당사는 e.l.f. Cosmetics, e.l.f. SKIN, Keys Soulcare, Well People, NATURIUM 등 다양한 뷰티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어 미국 화장품 테마주로 분류됩니다.
당사 제품의 가장 큰 특징은 깨끗하고, 동물 실험을 하지 않았으며, 비건(Vegan) 제품을 공급한다는 부분인데요. (클린 뷰티 지향)
특히 디지털 중심 마케팅 전략과 빠른 제품 개발 주기로 MZ 세대 소비자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으며 미국 내에서는 타깃(Target), 월그린(Walgreens) 등 주요 리테일러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자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알고 있으면 좋은 내용
1.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
2025년 5월 엘프 뷰티는 네덜란드와 벨기에의 주요 드럭스토어 체인인 Kruidvat 및 Trekpleister에 입점하는 등 유럽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했습니다.
이로써 당사 비미국 시장 매출은 전년 대비 66% 증가해 전체 매출의 20%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2. 바이럴 마케팅 강화
엘프 뷰티는 Tik Tok 등 SNS를 활용한 바이럴 마케팅에 주력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 출시한 ‘Bright Icon Vitamin C + E + Ferulic Serum’은 고가 제품과 유사한 성분을 포함하면서 가격은 저렴해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기타 미국 화장품 주식
이 밖에 아래 표와 같은 기업들이 시장에서 미국 화장품 주식 종목으로 불리고 있으니 함께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종목 | 티커 | 미국 화장품 주식 분류 이유 |
인터퍼퓸 | IPAR | Montblanc, Jimmy Choo, Coach 등 브랜드 향수 제조 및 유통 |
뉴스킨 엔터프라이즈 | NUS | 스킨케어 제품 등을 판매하는 다단계 마케팅 기업 |
샐리 뷰티 홀딩스 | SBH | 뷰티 리테일러 사업 영위 |
퍼펙트 | PERF | AI. AR 기술을 통한 가상 메이크업 체험 솔루션 제공 |
미국 화장품 ETF 알아보기
XRT (SPDR S&P Retail ETF)
XRT는 미국 소매업체 전반에 걸쳐 골고루 투자하는 ETF이며 투자대상에 울타 뷰티 등 화장품 관련주 종목 역시 포함됩니다. (미국 화장품 ETF 분류)
- 운용사 : SPDR State Street Global Advisors
- 설정일 : 2006.06.19
- 기초지수 : S&P Retail Select Industry TR USD
- 순자산 : 487.0백만 달러
- 구성종목수 : 77종목
- 레버리지 : 없음 (1배)
- 수수료 : 0.35%
- 배당수익률 : 1.63% (’24년 4회 배당)
IYK (iShares U.S. Consumer Goods ETF)
IYK는 미국의 소비재 섹터 기업들에 주로 투자하는 ETF로 에스티 로더 등 화장품 관련 기업들 역시 투자대상에 포함하고 있어 미국 화장품 ETF 중 하나로 분류됩니다.
(화장품을 포함, 식음료, 가정용품 등 다양한 소비재 분야에 투자)
- 운용사 : iShares
- 설정일 : 2000.06.12
- 기초지수 : Rusell 3000 TR USD
- 순자산 : 1,513.0백만 달러
- 구성종목수 : 61종목
- 레버리지 : 없음 (1배)
- 수수료 : 0.40%
- 배당수익률 : 2.44% (’24년 4회 배당)
함께 알면 좋은 업종별 미국 대장주
▶ 미국 암호화폐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나스닥 비트코인 주식 ETF
▶ 미국 희토류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나스닥 테마주 주식 ETF
▶ 미국 항공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나스닥 항공기 주식 테마주 ETF
+ 대장주 종목은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합니다.
+ 이 글은 관련 정보를 개인 생각과 함께 정리한 것으로 종목 추천글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