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주 관련주 정리 글입니다. 로봇 테마는 인공지능 산업과의 연계 기대감으로 꾸준히 성장 중이며 국내 증시에서는 레인보우로보틱스, 로보티즈, 유진로봇 등이 대장주 종목으로 분류되고 있는데요. 관련 정보를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글의 순서
로봇 산업 전망 & 인공지능 연계
로봇 산업 전망
✔ 세계 로봇 시장 전망
글로벌 로봇 시장 규모는 2022년 약 500억 달러에서 2030년 약 2,140억 달러 이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출처 : BCG, Statista, IFR 등)
이는 연평균 성장률 기준 20% 이상의 높은 수치이며 이미 미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한국 등 주요 국가는 로봇 시장 선점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과 중국 정부의 자국 로봇 산업 지원이 엄청난 편)
✔ 국내 로봇 시장 전망
국내 로봇 시장의 경우 “K-로봇 육성 전략”이라는 타이틀 아래 로봇 3대 강국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요.
산업통상자원부는 2030년까지 로봇 보급률 3배 확대를 추진 중이며 주로 아래와 같은 산업에서 로봇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 제조업 (스마트팩토리)
- 물류/유통
- 의료, 헬스케어 (로봇 수술, 재활로봇)
- 서비스, 교육 (안내 로봇, 돌봄 로봇)
- 국방, 위험 작업 (폭발물 해체, 소방 로봇)
“인공지능 + 로봇” 연계 기대감
로봇과 인공지능은 함께 할 때의 시너지가 굉장한 산업 중 하나인데요.
이는 인공지능이 로봇의 두뇌가 되고 반대로 로봇이 인공지능의 팔다리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으로 손꼽히는 인공지능 + 로봇 연계 적용 사례는 아래와 같습니다.
AI 기술 | 로봇 적용 사례 |
컴퓨터 비전 | 자율주행, 로봇팔 정밀 제어 |
자연어 처리 | 음성 인식 서비스 로봇 |
강화 학습 | 반복 학습 기반 작업 최적화 |
생성형 AI | 감정 교감형 로봇, 맞춤형 대화 |
로봇주 관련주 알아보기
레인보우로보틱스 (로봇 대장주)

로봇주 대장주 분류 이유
코스닥 상장사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는 KAIST ‘휴보’ 연구를 기반으로 한 이족보행 로봇을 시작으로 협동 로봇, 듀얼 암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등 다양한 지능형 로봇 라인업을 보유한 로봇주 대장주 종목입니다.
특히 보행형 로봇을 중심으로 한 피지컬 AI 로봇 관련주 종목으로 유명하며 로봇 대장주 중 대장주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국내 국외 사업 확장
당사는 2023년 미국 일리노이주에 법인을 설립한 후 북미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으며 국내에서는 현대차 및 삼성그룹 등과 협업해 제조 및 물류 자동화 시스템 공급을 확대 중입니다.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예상) |
매출액(억 원) | 136 | 153 | 193 | 270 |
영업이익(억 원) | 13 | -446 | -30 | 27 |
당기순이익(억 원) | 58 | -8 | 21 | 54 |
알아두면 좋은 내용
👉 삼성전자 지분 확대 및 자회사 편입
삼성전자는 2023년 당사 지분을 14.7% 매입한 후 2024년 말 콜옵션 행사를 통해 총 35%의 지분을 확보했습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를 자회사로 편입)
이후 삼성전자와 AI 및 소프트웨어 역량 결합을 통해 자사 로봇에 인공지능 ‘두뇌’를 탑재하는 노력을 진행 중입니다.
로보티즈 (로봇 관련주)

로봇주 관련주 분류 이유
코스닥에 상장된 로보티즈(108490)는 로봇의 핵심 부품인 액추에이터와 지능형 소프트웨어 부문에서 높은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으로 AI 로봇 관련주, 로봇주 관련주 테마에 속합니다.
✔ 모듈형 로봇 액추에이터 (Dynamixel, DYD 시리즈)
당사는 모터, 감속기, 제어, 통신 기능을 결합한 고성능 액추에이터를 자체 생산 중이며 해당 부문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 중입니다.
✔ 자율주행 배송 로봇 (‘개미’ 시리즈)
호텔, 리조트 등의 실내와 실외(택배, 음식 배달 등) 환경을 모두 아우르는 딥러닝 기반 AI 자율주행 로봇을 개발했으며 현재 실증 작업을 진행 중입니다.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예상) |
매출액(억 원) | 259 | 291 | 300 | 442 |
영업이익(억 원) | -22 | -53 | -30 | 25 |
당기순이익(억 원) | -2 | -13 | -30 | 14 |
알아두면 좋은 내용
👉 신제품 출시
당사는 2025년 1월 사이클로이드 감속기를 적용한 Dynamixel Drive 17을 출시했습니다. (충격에 특히 강하다는 평가)
👉 자율주행 로봇 상용화 준비
2025년 초 기준 LG전자와 실외 배달 로봇 납품 관련 논의를 진행 중입니다. (구독형에서 판매형 모델로 전환)
유진로봇 (로봇 테마주)

로봇주 테마주 분류 이유
코스닥 상장사 유진로봇(056080)은 자율주행, 물류, 청소 로봇 부문에서 높은 경쟁력을 보유 중이며 이 외에도 스마트팩토리 영역에서도 영향력을 발휘하는 로봇주 테마주 종목입니다.
✔ 자율주행 물류 로봇(AMR) ‘고카트’ 시리즈
유진로봇은 다양한 중량의 적재물을 운반할 수 있는 로봇을 출시 중이며 ISO 13482 안전 인증을 획득했습니다.
(공장, 물류, 헬스케어 환경별 맞춤형 솔루션 제공)
✔ 스마트팩토리 자동화 설비
35년간의 제조업 자동화 경험을 기반으로 조립라인, 창고, 병원 등 다양한 환경에서 로봇 패키지 및 관제 시스템을 보급 중입니다.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매출액(억 원) | 445 | 193 | 260 |
영업이익(억 원) | 45 | -53 | -42 |
당기순이익(억 원) | 49 | -52 | -32 |
알아두면 좋은 내용
👉 사업 구조 전환
당사는 2023년 기존의 청소 로봇(아이클레보) 사업에서 철수한 후 B2B 중심 자율주행, 자동화 솔루션 쪽으로 사업 방향을 전환했습니다.
👉 AI 로봇 관련주 부각
2025년 6월 24일 당사는 산업부 등 정부 주관 ‘AI 팩토리 전문 기업’에 선정되었으며 생성형 AI 기반 Gocart Foundation Model 소프트웨어 정의 로봇 등을 개발 중입니다.
👉 이재명 테마주 종목 부각
당사의 장동의 사외이사가 이재명 후보 캠프에 참여한 사실로 인해 정책 테마주 종목으로 크게 부각된 이력이 있습니다.
기타 로봇주 관련 주식
이 밖에 아래 표와 같은 기업들이 시장에서 로봇주 관련 주식 종목으로 분류되고 있으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종목 | 로봇주 관련 주식 분류 이유 |
두산로보틱스 | 협동 로봇 전문 개발 |
큐렉소 | 의료용 로봇 솔루션 개발 |
휴림로봇 | 스마트팩토리 산업 로봇 공급 |
로보로보 | 교육, 서비스 로봇 공급 |
씨메스 | 3D 비전 기반 AI 로봇 솔루션 개발 |
함께 알면 좋은 업종별 대장주
▶ 오가노이드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동물실험 폐지 관련 주식 테마주
▶ 우주항공주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항공우주 관련 주식 테마주
▶ 홀로그램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가상현실 관련 주식 테마주
+ 이 글은 관련 정보를 개인 생각과 정리한 것으로 종목 추천글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