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트윈 관련주 정리 글입니다. 해당 테마에는 바이브컴퍼니, 웨이버스 등 다수의 종목들이 속해 있으며 스마트시티 등 차세대 산업과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데요. 디지털 트윈 대장주 등 관련 정보를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글의 순서
디지털 트윈 뜻 & 전망
디지털 트윈 뜻
먼저 디지털 트윈 뜻부터 간단하게 정리하고 시작하겠습니다.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은 실제 사물이나 시스템, 공간 등의 물리적 특성을 가상공간에 그대로 복제해 디지털로 구현한 쌍둥이 모델입니다.
여기까지만 들어도 느낌이 오시겠지만 디지털 트윈은 뭔가를 만들기 전에 하는 예측, 그리고 모니터링 등에 가장 최적화된 기술입니다.
예를 들어 도시 계획을 수립할 때 교통 흐름이나 에너지 사용 등을 미리 예측해야 하잖아요?
이때 디지털 트윈 기술을 사용하면 데이터에 근거해 실제 상황에 근접한 정밀 시뮬레이션이 가능해지게 됩니다.
디지털 트윈 전망
✔ 스마트시티 & 인프라 관리
도시교통 흐름이나 에너지 사용 등을 예측하거나 모니터링할 때 사용
✔ 스마트팩토리 및 공장에서 사용
생산 공정을 가상으로 재현해 고장 예측 및 생산성 향상에 활용
✔ 건설 산업
시공 전 설계 단계에서 검증 및 시뮬레이션 용도로 사용
2023년 약 73조 원 수준이었던 세계 디지털 트윈 산업 규모는 2030년 약 300조 원 수준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연평균 성장률 40% 이상)
디지털 트윈은 AI 기반 의사결정에도 사용되며 국내 정부 역시 디지털 트윈 국토 시범사업을 진행하는 등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어 전망이 밝습니다.
디지털 트윈 관련주 알아보기
바이브컴퍼니 (301300)

디지털 트윈 대장주 분류 이유
코스닥 상장사 바이브컴퍼니는 세종시, 부산시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디지털 트윈 사업 주관사로 대표적인 디지털 트윈 대장주 종목 중 하나입니다.
뿐만 아니라 당사는 LH와 함께 3기 신도시(인천, 고양, 남양주 등)에 디지털 트윈 기반 도시 모델 구축을 협력 중인데요. (스마트시티 관련주)
기존 1단계 도시 모형뿐만 아니라 2단계에서 AI 접목을 통해 사전 청약, 가상 모델하우스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매출액(억 원) | 344 | 300 | 263 |
영업이익(억 원) | -139 | -92 | -60 |
당기순이익(억 원) | -229 | 320 | -93 |
알아두면 좋은 내용
✔ 기상, 기후 디지털 트윈 사업 추진
당사는 기상청 주관 스마트시티 기상 기후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사업 기간 4년, 예산 53억 원 규모)
✔ AI 기술 보유
당사는 한국어 LLM ‘바이브GeM’, ‘바이브 서치GPT’ 등 생성형 AI 기술을 보유 중이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4년 8월 HPE, 동국시스템즈와 한국어 LLM 협력 계약 체결)
라온피플 (300120)

디지털 트윈 관련주 분류 이유
코스닥 상장사 라온피플은 AI 교통 데이터 기반 자율주행 협력 및 디지털 트윈 기술 분야에서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해 디지털 트윈 관련주 종목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당사가 보유 중인 특허는 단위 시간 내 교차로 통과 및 교통량을 산출한 후 이를 바탕으로 교통량을 예측하고 신호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와 관련해 정부 AI 교통 데이터 구축 사업 주관기업으로 선정된 이력 역시 가지고 있습니다.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매출액(억 원) | 265 | 112 | 2,202 |
영업이익(억 원) | 24 | -111 | -162 |
당기순이익(억 원) | -5 | -87 | -139 |
알아두면 좋은 내용
✔ 교통 디지털 트윈 분야에서 확고한 포지셔닝 완료
특허 기반 AI와 디지털 트윈 기술을 바탕으로 스마트 교통 시스템 시장 공략
✔ 파트너십 부분
네이버, LX 등과 협업 가능성 있으며 특히 네이버가 사우디 디지털 트윈 사업을 추진하는 것과 관련해 당사 역시 기대를 받았던 이력이 있습니다.
웨이버스 (336060)

디지털 트윈 테마주 분류 이유
코스닥에 상장된 웨이버스는 산업단지, UAM, 드론 등의 관제와 관련한 디지털 트윈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해 증시에서 디지털 트윈 테마주 종목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디지털 트윈 이슈가 생길 때 주가가 크게 반응하는 편이며 실제로 2023년 국토교통부가 디지털 트윈 사업을 포함한 “제7차 국가 공간 정보정책 기본계획”을 발표했을 때 당사 주가 역시 강세를 보였던 이력이 있습니다.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매출액(억 원) | 405 | 488 | 564 |
영업이익(억 원) | 18 | 51 | 17 |
당기순이익(억 원) | -81 | 71 | 33 |
알아두면 좋은 내용

✔ 산업단지, 공장 통합 관제 플랫폼 구축
당사는 울산 미포산단 사업과 관련해 21억 원 규모의 핵심 사업을 수주, 지하/환경/교통/화재 등의 실시간 모니터링 기반 디지털 트윈 통합 관제 플랫폼을 구축했습니다.
✔ UAM, 드론 관제 및 시뮬레이션 솔루션
당사는 2024년 고양 UAM, 드론 박람회에서 항공 통합 관제, 디지털 트윈 엔진 등 솔루션을 공개했으며 2025년 부산 DSK 2025 전시회에서도 동일 기술을 기반으로 한 최신 UAM 기술을 선보인 바 있습니다.
✔ 민간 협업 확대
당사는 네이버클라우드, LX, 한진정보통신 등과 UAM, 공간 정보 플랫폼 협력을 체결했으며 특히 네이버 및 LX와 공동으로 사우디 네옴시티 대상 디지털 트윈 시장 진출을 도모했던 이력이 있습니다.
기타 디지털 트윈 관련 주식
이밖에 아래 표와 같은 기업들이 증시에서 디지털 트윈 관련 주식 종목으로 손꼽히고 있으니 함께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종목 | 디지털 트윈 관련 주식 분류 이유 |
네이버 | 네이버랩스 등 기반 스마트시티 관련주 역할 |
이에이트 | 삼성, PIX4D 협업, 시뮬레이션 디지털 트윈 |
MDS테크 | 공간 디지털 트윈 솔루션 |
핀텔 | 신호제어, 교통 디지털 트윈 |
이노뎁 | 영상 관제 기반 디지털 트윈 |
함께 알면 좋은 업종별 대장주
▶ 핀테크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테마주 (ft. 지역화폐 관련 주식)
▶ 원화 스테이블코인 관련주 대장주 주식 1분 정리 / 스테이블코인 뜻
▶ 증권사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배당주 우선주 뜻 포함
+ 이 글은 관련 정보를 개인 생각과 함께 정리한 것으로 종목 추천글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