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목적 댐 관련주 정리 글입니다. 정부가 무려 14년 만에 신규 다목적 댐 건설 계획을 밝히면서 관련 테마주 종목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가장 주목받고 있는 다목적 댐 대장주 종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글의 순서
+ 이 글에서는 각 종목들이 왜 해당 섹터의 실시간 테마주인지를 설명하고 어떤 이슈(키워드)와 관련해 주가가 변동 중인지를 함께 살펴봅니다.
+ 주가는 항상 변동하니 참고만 해 주시길 바라며 대장주 역시 상황에 따라 수시로 변동하니 이 점 역시 유념해 주시길 바랍니다.
정부 14개 신규 댐 건설 계획 공개
어디에 설치하나?
이번에 설치하는 댐은 전국에 걸쳐 총 14개가 조성될 예정입니다. (한강 4개, 금강 1개, 낙동강 6개, 섬진강 2개, 영산강 1개)
권역 | 지역 | 댐 이름 | 총 저수용량(톤) |
한강 | 강원 양구군 | 수입천댐 | 1억 |
경기 연천군 | 아미천댐 | 4500만 | |
충북 단양군 | 단양천댐 | 2600만 | |
강원 삼척시 | 산기천댐 | 100만 | |
금강 | 충남 청양군 | 지천댐 | 5900만 |
낙동강 | 울산 울주군 | 회야강댐 | 2200만 |
경북 김천시 | 감천댐 | 1600만 | |
경북 청도군 | 운문천댐 | 660만 | |
경남 의령군 | 가례천댐 | 490만 | |
경북 예천군 | 용두천댐 | 160만 | |
경남 거제시 | 고현천댐 | 80만 | |
섬진강 | 전남 화순군 | 동복천댐 | 3100만 |
전남 순천시 | 옥천댐 | 230만 | |
영산강 | 전남 강진군 | 병영천댐 | 190만 |
각 댐의 저수용량을 보면 가장 작은 80만 톤 규모부터 1억 톤 규모까지 다양하며 대부분 중소형 댐에 해당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 2024년 7월 31일 동아일보 보도자료)
왜 설치하나?

가장 중요한 이유는 최근 들어 점점 심각해지고 있는 기후 위기(태풍, 가뭄 등)에 대비한 ‘치수’ 용도입니다.
예를 들어 5900만 톤 급 지천댐이 조성될 예정인 충남 청양군의 경우 상습적으로 가뭄과 홍수가 발생하는 지역 중 하나로 실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 연속으로 물난리가 났던 이력이 있습니다.
여기에 수력발전을 통한 전력 수급 역시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신규 댐 건설의 주식 시장 영향
가장 먼저 토목공사 시공 기업들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중에서도 이미 국내와 해외에서 다른 댐을 건설한 이력이 있는 업체, 그리고 댐 건설 예상 지역에 기반을 두고 있는 업체들이 더 많은 혜택을 받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지역업체 입찰 시 가산점 부여 가능성 등)
다음으로 대형 토목사업 관련 환경생태복원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들 역시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입니다. (댐을 짓고 난 후 해당 지역의 생태계를 보존하는 것 역시 중요하기 때문)
다목적 댐 관련주 알아보기
이화공영 (다목적 댐 대장주)

코스닥 상장사인 이화공영(001840)은 1956년부터 국가 기반 시설물(도로, 철도 등)을 중심으로 토목 및 건축 사업을 영위 중입니다.
특히 관급공사를 중심으로 한 토목 공사 분야에 높은 기술력과 긴 업력을 가지고 있어 시장에서 다목적 댐 대장주 종목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화공영 주가는 이번 정부 발표 이후 말 그대로 급등, 상한가를 기록했으며 7월 31일 3개월 최고가인 3,930원을 기록했습니다.
우원개발 (다목적 댐 관련주)

코스닥 상장사인 우원개발(046940)은 토공사업(도로, 교량, 터널 등), 도시개발사업(주택 건설, 대지 조성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 역시 이화공영과 마찬가지로 도로, 교량, 터널, 항만, 철도 등 인프라 공사 분야에 높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다목적 댐 관련주 종목으로 분류됩니다.
우원개발 주가 역시 2,800원 대에서 장기 횡보하다가 7월 말 정부 발표 후 급등했으며 7월 31일 3개월 최고가인 4,090원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자연과환경 (다목적 댐 테마주)

코스닥 상장사인 자연과환경(043910)은 환경생태복원 사업, 토양정화사업, PC 저류조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댐 등 대규모 토목 사업에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환경생태복원 사업을 영위하고 있어 다목적 댐 테마주 종목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일감 증가로 인한 매출 상승 기대)
자연과환경 주가 흐름을 보면 5월 24일 3개월 최고가(1,016원) 기록 후 조정에 들어간 상태인데요. 이번 정부 발표 때 자연과환경 주가 역시 일시적으로 반등했었으나 상승 폭이 많이 크지는 않았습니다.
기타 토목 테마주
이 밖에 아래와 같은 종목들이 현재 시장에서 토목 테마주(다목적 댐 수혜주) 종목으로 분류되고 있으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종목 | 다목적 댐 수혜주 분류 이유 |
특수건설 | 대교 등 주요 시설물 시공 이력 보유 |
남광토건 | 건축 및 토목 관련주 |
동아지질 | 토목 관련주 |
웹스 | 생태하천 복원 사업 영위 |
함께 알면 좋은 업종별 대장주
▶ 타이어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전기차 타이어 테마주 수혜주
▶ 암모니아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친환경 에너지 테마주 수혜주
▶ 저궤도 위성통신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6G 위성통신 테마주 수혜주
+ 이 글은 관련 정보를 개인 생각과 정리한 것으로 종목 추천글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