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신형 K5 페이스리프트 출시일, 가격 정보 A to Z (하이브리드)

2010년 등장해 기존 국내 중형 세단 최강자인 쏘나타를 압도하는 인기를 보여줬던 K5가 올해 페이스리프트 출시를 앞두고 있습니다. 경쟁차량인 쏘나타가 디 엣지 출시로 예전의 이미지를 완전히 벗어던진 지금 K5 페이스리프트 출시일과 가격 예상 정보를 5월 기준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기아 신형 K5 페이스리프트, 혁신보다는 발전?

우선 디자인면에서 쏘나타 페이스리프트만큼의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혁신 수준의 큰 변화가 아닌 기존 디자인의 발전 느낌으로 진행) 

쏘나타의 경우 원래 디자인이 메기 소리까지 듣는 등 호불호가 강한 디자인이었다 보니 이번에 새로 나온 페이스리프트 디자인에 더 큰 변화를 줄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이는데요.

반면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3세대 K5의 경우 디자인 측면에서 호평하는 이들이 많은 만큼 굳이 엄청난 변화를 주는 시도를 할 필요는 없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K5 페이스리프트 예상도 전면 (출처 : 뉴욕맘모스)

제가 항상 인용하는 유튜버 뉴욕맘모스님의 K5 페이스리프트 예상도를 보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우선 이번 변화는 페이스리프트 형태이다 보니 측면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며 전면부에서는 ‘Y’자 형태의 디자인을 적극 반영한 램프 모양이 나올 것으로 추정됩니다.

 

최근 기아 K 시리즈에서 자주 사용되는 상어 비닐 모양의 그릴 가니쉬 패턴은 유지될 것으로 보이나 기존 모델 대비 좀 더 사용부위가 풍부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즉, 현행 모델 기준 K5와 K8 사이의 느낌이 되지 않을까 강하게 예상되며 현대기아차의 이러한 페이스리프트 흐름(상위 모델의 장점 활용)은 올해 예정되어 있는 제네시스 G80 페이스리프트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K5-페이스리프트-후면-예상
왼쪽 K5 페이스리프트 예상도 후면 (출처 : 뉴욕맘모스) vs 실제 K8 후면 모습

K8-후면-사진
왼쪽 K5 페이스리프트 예상도 후면 (출처 : 뉴욕맘모스) vs 실제 K8 후면 모습

후면 예상도도 함께 보실게요. 테일램프 모양의 변화가 가장 눈에 띄는데요.

기존의 1자 모양에서 K8과 비슷한 ‘ㄱ’자 형태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를 통해 기존의 다소 밋밋했던 후면 인상이 보다 역동적이고 강인한 느낌으로 바뀔 것으로 예상됩니다.



쏘나타 디 엣지 인테리어 모습

내부 인테리어는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만 그 변화의 방향은 최근 출시된 쏘나타 페이스리프트 디 엣지를 보면 충분한 짐작이 가능합니다.

 

기존 K5 내부 인테리어 역시 당시에는 굉장히 좋은 디자인이었지만 현재로서는 다소 올드한 이미지가 있기 때문에 최근 트렌드인 파노라마 커브드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아 신형 K5 페이스리프트 출시일

이번 기아 신형 K5 페이스리프트 출시일은 쏘나타 페이스리프트 디 엣지 출시일로부터 약 반년 정도 지난 시점으로 예상됩니다.

즉, 올해 10~11월 정도로 예상되며 이는 국내 중형 세단의 양대 강자인 쏘나타와 K5 간의 경쟁 시점 조정을 통해 양 차량 모두의 매출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여겨집니다.

 

K5 페이스리프트 사전예약 시점 역시 9월~10월 정도이지 않을까 하며 비슷한 시기에 제네시스 G80 페이스리프트 역시 나오지만 고객층이 완전히 겹치지는 않기 때문에 현대차 입장에서는 윈윈 하는 결과가 기대됩니다.

 

* K5 페이스리프트 하이브리드

국내에서 준대형 세단과 SUV 차량의 강세로 중형 세단의 인기가 감소하면서 K5 판매량 역시 고전 중이지만 이 와중에도 하이브리드 모델의 인기는 여전한데요.

 

작년 K5 판매량 중 하이브리드 점유율은 24%로 2021년의 19% 대비 무려 5% p나 상승했으며 이러한 흐름을 감안했을 때 이번 K5 페이스리프트 하이브리드에 대한 기대감 역시 높은 상태입니다.

 

다만 파워트레인의 경우 변동이 예상되는데요. 현재 현대기아차의 하이브리드 트렌드는 1.6 터보 하이브리드이기 때문입니다. (기존 K5 하이브리드는 2.0 하이브리드임)

 

심지어 상위 모델인 K8 하이브리드에도 1.6 터보 하이브리드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K5 페이스리프트 하이브리드 역시 이러한 흐름을 따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아 신형 K5 페이스리프트 가격(예상)

쏘나타의 케이스를 생각하면 K5 페이스리프트 가격 역시 어느 정도 합리적인 추정이 가능합니다.

 

K5 페이스리프트 가격은 인건비와 자재비 인상, 최신 옵션(빌트인캠 2 등) 추가 등으로 약 200~300만 원의 증가가 예상되며 트림별 예상가는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트림 기존가격 K5 페이스리프트 가격(예상)
1.6 가솔린 터보 트렌디 2,479만원 2,729만원
프레스티지 2,768만원 3,018만원
노블레스 2,979만원 3,229만원
시그니처 3,284만원 3,534만원
2.0 가솔린 트렌디 2,400만원 2,650만원
프레스티지 2,651만원 2,901만원
노블레스 2,862만원 3,112만원
시그니처 3,205만원 3,455만원
하이브리드 트렌디 2,834만원 3,084만원
프레스티지 3,031만원 3,281만원
노블레스 3,262만원 3,512만원
시그니처 3,551만원 3,801만원

※ 트림명은 변경될 가능성이 높으며 기존 공급가를 바탕으로 추정한 예상가격인 점을 분명히 밝힙니다.

 

정리하면 1.6 가솔린 터보 기준 2,700만원~3,500만원이며 K5 페이스리프트 하이브리드의 경우 3,000만원~3,800만원 정도로 형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K5의 판매량은 2020년에 쏘나타를 넘어선 적이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쏘나타에게 밀리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상세내용 아래 표 참조)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쏘나타 10만대 6만7천대 6만3천대 4만8천대
K5 3만9천대 8만4천대 5만9천대 3만1천대

여기에 소비자들의 수요 역시 기존의 중형 세단에서 준대형 세단(그랜저, K8)으로 넘어가기 시작하며 K5는 분명히 좋은 차임에도 불구하고 시장 점유율을 점점 잃어가고 있었는데요. (여기에 SUV로의 수요 이탈 역시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이번에 나오는 신형 K5 페이스리프트의 경우 익스테리어에서는 K8의 장점을 많이 가져오는 한편 인테리어의 경우 최신 트렌드(파노라마 커브드 디스플레이 등)를 충분히 반영하는 등 긍정적인 변화가 많이 존재할 것으로 보여 중형 세단의 시대를 다시 불러올 수 있을지 기대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