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지펀드(hedge fund) 뜻
헤지펀드는 투자신탁과 비교해 간단히 정리하자면 “대규모 자본이 있어야 살 수 있는 유사 투자신탁”이다. 투자를 위해 출자자로부터 모은 자금으로 운용하는 점은 투자신탁과 유사하지만, 한정된 대규모 투자자만이 출자할 수 있다. 헤지 펀드를 구입할 수 있는 투자자를 자격 투자자라고 하며 분명한 기준은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통상 일정 규모 이상의 대규모 자금을 투자해야 가입이 가능하다. 한국형 헤지펀드의 경우 최저가입 기준이 1억원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기존에는 5억원 이상이었음.)
헤지펀드는 투자대상을 주식이나 채권에 제한하지 않고 파생상품과 실물자산 등 모든 금융투자를 시도하는 대체투자펀드의 하나이며 유일한 절대적인 명제이자 목표는 수익추구이다. 예를 들자면 시장이 금융 위기로 경색되어 있는 상황에서도 농산물 선물에 투자해 이익을 내는 식으로 운용된다. 헤지펀드에 있는 헤지란 피한다는 의미로 리스크를 최대한 피하기 위해서 투자 대상을 복수로 분산시키는 한편 복수의 운용 방식을 이용해 운용 수익을 올리는 것이 특징이다.
투자신탁과의 차이점
일반적으로 공개방식으로 공모되는 투자신탁과 달리 헤지펀드는 운영사가 사모형식으로 출자자를 직접 모집한다. 여기서 모집 대상은 부유층이나 금융기관등의 대형 투자가가 일반적이며 최저 구매 금액 역시 일반인으로서는 부담하기 어려운 금액으로 설정된다. 공모형식의 투자신탁의 경우 유가증권보고서 등을 발행할 의무가 있지만 헤지펀드는 이를 별도로 요구하지 않기에 그만큼 엄격한 규제에서 최대한 자유롭게 운영 전략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헤지펀드는 절대 수익을 요구하는 점이 통상적인 투자신탁과 크게 다르다. 예를 들어 지수형 투자신탁은 주가지수에 연동해서 운용하기 때문에 주가가 내려가면 그에 연동하여 투자신탁의 기준가액도 내려가지만 헤지펀드의 경우 이러한 상황에서도 플러스 상황을 유도한다. 상술했다시피 헤지펀드는 주식과 채권뿐만 아니라 선물거래와 신용거래 등 모든 투자 기법을 결합하여 이익을 추구하기에 적극적으로 쇼트 포지션을 활용해 가격이 내린 곳에서 다시 사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레버리지를 활용해 하락 시세에서도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운용하기 때문이다.
헤지펀드의 단점과 리스크
① 낮은 유동성
헤지펀드는 주식이나 투자신탁과 같이 공개적으로 매매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투자 기회가 제한될 뿐만 아니라 상황이 바뀌어 처분하고 싶어도 즉시 현금화할 수 없다. 심지어 해약할 수 있는 시기가 정해져 있는 경우도 있어 환금성이 상대적으로 낮다.
② 정보의 불투명성
유가증권 보고서에서 내용이 공개되는 투자신탁과 달리 헤지펀드는 내용이 공개되지 않는다. 즉, 투자 대상 펀드나 그 투자 비율을 열람할 수 없다는 뜻이며 헤지펀드의 종류에 따라 일부 정보를 공개하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투자신탁과 비교한다면 판단을 도울 수 있는 재료가 적다.
③ 높은 비용
일반 펀드는 수수료가 낮은 경향이 있으나 헤지 펀드는 이와 반대로 이익만을 추구하기 때문에 그만큼 수수료가 높다. 헤지펀드 수수료에는 통상 운영 수수료와 운영 보상이 포함된다. 운영 수수료는 운영 자산에 따라 비용을 부담하는 식이며 운용 보수의 경우 운용 성적에서 이익을 본 정도에 따라 지불하는 것으로 운용자에게 지불하는 성공 보수 개념이다.
④ 파산 위험성 존재
헤지펀드는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레버리지를 극도로 활용한 투자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결과가 좋으면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투자금액 손실의 우려 역시 크며 최악의 경우 헤지펀드 자체가 파산하는 상황에 처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