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설명-스톡옵션

스톡옵션 뜻

스톡 옵션은 주식회사의 직원 혹은 이사가 자사주를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취득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회사가 직원이나 이사에게 미리 정해진 금액(권리행사가격)으로 회사의 주식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며 직원과 이사는 미래에 주가가 상승할 때 주식 옵션에 대한 권리를 행사하는 식이다. 직원 및 이사에 대한 보상액은 회사의 성과 향상으로 인한 주가 상승과 연동됨으로써 주식 옵션의 권리가 부여된 이에게 회사의 실적개선은 실질적인 인센티브가 된다.

스톡옵션 장점

첫째, 우수한 인재를 확보할 수 있다. 스톡옵션제도를 활용해 미래의 인센티브를 확실히 어필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우수한 인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입사한 인재의 입장에서는 스톡 옵션의 권리를 행사하기 전에 회사를 그만두면 손해라는 인식을 유도할 수 있기에 인재의 유출을 막는 효과도 있다. 둘째, 직원에게 동기 부여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스톡옵션 부여라는 인센티브는 직원과 이사의 동기 부여로 연결된다. 자사의 실적이 향상될수록 주가가 상승하여 스톡 옵션의 이익이 커지는 구조이므로 직원과 이사들이 회사의 가치를 높인다는 관점에서 공통된 목표를 가질 수 있다. 셋째, 권리가 부여된 직원의 리스크가 낮다. 직원이 개인 자금으로 주식 투자를 하는 것과 관련한 리스크는 스톡 옵션에 없다. 만약 직원이 자사주를 구입한 경우에는 주가가 하락할 때 손실이 발생하지만 스톡옵션의 경우 만일 주가가 하락하면 그때는 권리를 행사하지 않으면 손실은 제로가 되기에 일반 주식 투자에 비해 리스크가 현저히 낮다. 아울러 기업의 입장에서는 당장의 무리한 인건비 지출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우수한 인력을 유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스톡옵션 단점

첫째, 주가 하락으로 인한 동기 상실 가능성이다. 아무리 성장 중에 있는 기업이라도 실적이 악화되어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으며 그 때 스톡옵션을 목적으로 입사한 직원이나 이사의 경우 동기부여 하락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둘째, 사내에서 불협화음 발생 가능이 있다. 스톡옵션을 얻은 직원 및 이사와 그렇지 않은 직원 및 이사가 함께 근무하는 경우 사내에서 불협화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셋째, 권리 행사 후 직원 이탈 가능성이 존재한다. 스톡옵션을 최우선 메리트로 설정하고 입사한 직원의 경우 아무래도 금전적인 가치에 중점을 두고 있을 수 있으며 스톡옵션에 대한 권리를 행사하여 많은 이익을 얻은 후에는 회사를 즉시 그만둘 가능성이 있다. 이밖에도 기업의 입장에서 스톡옵션을 통해 유치한 직원수가 많을 경우 아무래도 단시간 내의 주가 상승을 염두에 둔 경영활동을 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중장기적인 측면에서의 기업의 발전방향과 부합하지 않을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