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링 관련주 정리 글입니다. 갤럭시링은 반지처럼 손가락에 끼우는 것만으로도 각종 신체정보 수집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데요. 이 글에서는 가장 알려진 갤럭시링 대장주 종목을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글의 순서
+ 이 글에서는 각 종목들이 왜 해당 섹터의 실시간 테마주인지를 설명하고 어떤 이슈(키워드)와 관련해 주가가 변동 중인지를 함께 살펴봅니다.
+ 주가는 항상 변동하니 참고만 해 주시길 바라며 대장주 역시 상황에 따라 수시로 변동하니 이 점 역시 유념해 주시길 바랍니다.
갤럭시링에 대해 알아보기
갤럭시링 출시일 후 반응
2024년 7월 24일 삼성전자는 반지 모양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갤럭시링을 출시했습니다. (한국 내 판매 가격은 499,400원입니다.)
컬러는 3종류(티타늄 블랙, 티타늄 실버, 티타늄 골드)이며 사이즈는 5호부터 13호까지 총 9종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출시 후 초기 반응은 긍정적이었으며 미국의 경우 일부 모델이 즉시 매진되기도 했다고 하네요.
다만 출시 후 약 3달이 지난 현재(2024년 10월) 기준 갤럭시링 판매량은 처음처럼 폭발적이지만은 않은 상황인데요.
아래에서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갤럭시링 장점 & 단점
갤럭시링 장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 반지 형태의 디바이스로 착용이 기존의 워치 대비 간편함 (디자인 역시 깔끔)
- 손가락에 밀착되어 있어 건강 모니터링 기능이 더욱 개선됨
- 손가락 움직임을 인식한 조작이 가능
보시다시피 링 형태의 디바이스인 점을 활용한 장점이 대부분인데요. 다만 갤럭시링 단점 역시 몇 가지 존재합니다.
- 디스플레이가 없어서 불편함 (이건 반지라는 특성상 어쩔 수 없는 부분)
- 데이터 입력이 어려워 대부분 측정 기능 하나를 위해서만 사용
- 생각보다 비싼 가격
- (가장 중요) 스마트워치가 있는 사람에게는 굳이 필요하지 않다?
반지라는 특성상 크기가 작다 보니 텍스트 입력도 어렵고 디스플레이 기능 역시 기대할 수 없는데 가격 역시 거의 50만 원으로 절대 싸지 않아 구입에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가 많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갤럭시링 단점 중 가장 큰 건 바로 워치와의 애매한 포지셔닝입니다.
왜냐하면 갤럭시링의 수많은 건강 관리 관련 기능을 실제로 워치에서 거의 비슷하게 제공하고 있으며 심지어 워치를 쓰면 디스플레이, 텍스트 입력 등 링이 제공하지 못하는 기능까지 이용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링이 주는 이 독특한 간지? 느낌? 감성? 이런 것 때문에 많은 이들이 갤럭시링을 구입하고 있는 거겠죠.)
스마트링 시장 갤럭시링 독주 지속

원래 애플에서도 애플 링(가칭)을 출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고 실제로 애플이 관련 특허를 부지런히 신청하면서 시장의 기대감 역시 무럭무럭 자라고 있었습니다.
다만 2024년 10월 9일 보도에 따르면 애플 소식에 정통한 블룸버그의 마크 거먼이 “애플은 스마트 링 출시 계획을 취소했다”고 밝혔다고 하는데요.
이유는 애플이 판단하기에 애플워치와 애플링은 동일한 수요층을 가지고 있으며 “애플링이 나올 경우 애플워치 수요에 영향을 줄 것이다”라는 지극히 사업적인 판단이라고 합니다.
이로써 당분간은 글로벌 스마트 링 시장에서 갤럭시링의 독주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실제로 샤오미와 오우라가 출시한 경쟁작(블랙 샤크, 오우라 링 4)의 경우 아직은 갤럭시링의 상대가 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갤럭시링 관련주 알아보기
뉴프렉스 (갤럭시링 대장주)

코스닥 상장사 뉴프렉스(085670)는 주로 연성인쇄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제조하는 전자 부품 기업입니다.
당사는 FPCB뿐만 아니라 FPCB를 기반으로 한 여러 종류의 전자 모듈(카메라 모듈, 터치 패널 모듈 등) 역시 제조하고 있으며 이를 휴대폰, 태블릿, 자동차 전장 시스템 제조사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특히 당사는 의료기기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사용 가능한 가볍고 유연한 FPCB를 제조하고 있으며 갤럭시링을 제조하는 삼성전자에 자사 FPCB를 납품하고 있어 갤럭시링 대장주 종목 중 하나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2024년 10월 11일 뉴프렉스 주가는 전일 대비 5.94% 하락한 5,860원으로 장을 마쳤으며 당일 최고가는 6,190원을 기록했습니다.
지니틱스 (갤럭시링 관련주)

코스닥 상장사 지니틱스(303030)는 반도체 설계와 제조에 전문성을 가진 팹리스(fabless) 기업으로 특히 모바일 및 IT 기기에 사용되는 반도체 설루션을 제공하는 데에 전문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터치 컨트롤러 IC : 정전식 방식의 고감도 터치 성능을 가진 터치스크린 컨트롤러 IC를 제조하고 있으며 주로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용으로 사용됩니다.
- 지문 인식 센서 : 스마트폰 보안 등에 사용되는 지문 인식 센서를 제조합니다.
- 전력 관리 IC(PMIC) : 모바일 기기와 웨어러블 기기 등의 전력 효율을 높이는 데에 사용되는 전력 관리 IC를 제조합니다.
- 터치키 설루션 및 센서 : 물리적 버튼을 대체하는 터치식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며 온도와 습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 역시 제조합니다.
당사는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 Fitbit(북미 기업), BBK, Xiaomi(중국 기업) 등에 자사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갤럭시워치 6에 자사 터치 IC를 공급한 이력이 있어 갤럭시링 관련주 종목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2024년 10월 11일 지니틱스 주가는 전일 대비 1.51% 하락한 1,238원으로 장을 마쳤으며 당일 최고가는 1,265원을 기록했습니다.
하이딥 (갤럭시링 테마주)

코스닥 상장사 하이딥(365590) 역시 위의 지니틱스와 마찬가지로 터치 설루션 관련 기술에 강점을 가진 팹리스 기업인데요.
당사는 고성능 터치 인식 기술을 바탕으로 아래와 같이 다양한 사업을 영위 중에 있습니다.
- 터치 IC 설루션 : 당사의 주력 제품으로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다양한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에 사용되는 제품으로 멀티 터치 기능, 스타일러스 지원 등 최신 기술을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터치스크린 패널과 모듈 역시 함께 제조 중)
-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 당사는 디자이스 성능 최적화를 위해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설루션을 개발 중입니다.
- 차량용 터치 설루션 : 최근 자동차 분야로 사업을 확장 중이며 차량용 터치스크린 및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사용되는 설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당사는 2021년 세계 최초로 온 셀 플렉시블 OLED 디스플레이에 적용 가능한 터치 IC를 개발해 삼성전자 스마트워치 제품에 독점으로 자사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이 부분과 관련해 갤럭시링 테마주 종목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2024년 10월 11일 하이딥 주가는 전일 대비 0.11% 상승한 918원으로 장을 마쳤습니다. (최근 주가가 많이 내려가 1천 원 미만인 동전주 상태입니다.)
기타 갤럭시링 수혜주
이 밖에 아래와 같은 기업들이 시장에서 갤럭시링 수혜주 종목으로 불리고 있으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종목 | 갤럭시링 수혜주 분류 이유 |
인터플렉스 | 고밀도 회로 기판 제조 |
이미지스 | 디스플레이, 터치센서 제조 |
드림텍 | 헬스케어 설루션 개발 |
에이티넘인베스트 | 헬스케어 스타트업 스카이랩스의 지분 보유 |
종근당 | 스카이랩스 지분 보유 |
함께 알면 좋은 업종별 대장주
▶ 전해액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이차전지 전해질 테마주 수혜주
▶ 숏폼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틱톡, 릴스, 쇼츠 테마주 수혜주
▶ 유전자가위 관련주 대장주 1분 정리 / 테마주 수혜주
+ 이 글은 관련 정보를 개인 생각과 정리한 것으로 종목 추천글이 아닙니다.